이번엔 김명수 ‘제자논문 표절’ 의혹

이번엔 김명수 ‘제자논문 표절’ 의혹

입력 2014-06-18 00:00
업데이트 2014-06-18 02: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송광용 교육문화수석 이어 논란

박근혜 대통령이 세월호 참사 이후 단행한 2기 내각 주요 인사들의 논문 표절 의혹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교육계의 수장이라고 할 수 있는 송광용 신임 청와대 교육문화수석에 이어 김명수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까지 제자 논문 표절 의혹에 휘말렸다.

17일 박홍근 새정치연합 의원이 국회도서관 정보 시스템과 한국학술지인용색인(KCI)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김 후보자가 2002년 6월 발표한 ‘자율적 학급경영 방침 설정이 아동의 학급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은 자신이 지도한 학생인 정모씨가 4개월 전 작성한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 및 내용의 상당 부분이 같았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에 논문을 내면서 자신을 제1저자로, 정씨를 제2저자로 게재했다. 두 사람의 논문을 비교해 보면 서론의 문제 제기에서 ‘학교교육은 학급을 기초단위로 전개된다. 아동은 교실에서 배우고 경험하면서 성장·발달한다’ 등 상당 부분의 문장이 일치했고, 이론적 배경이나 연구방법에 제시된 표·그림 등도 정씨의 석사학위 논문 내용과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교육부 수장이 될 사람에게는 논문과 관련해 더욱 엄중한 잣대가 적용돼야 한다”고 비판했다. 김 후보자 측은 “정씨의 우수 논문을 살려 주기 위해 교수논총에 게재하도록 했다”면서 “내가 지도교수라 고마움을 느껴 제1저자로 올려 준 것”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송 수석도 제자가 쓴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제1저자로 등재해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됐다.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는 별도의 인용 표시 없이 자신의 논문을 중복 게재해 이른바 ‘자기표절’ 의혹이 일고 있다. 청와대 인사 검증 시스템 역시 다시 비판의 도마에 올랐다. 청와대가 후보 지명 전 실시한 인사검증 체크리스트(고위공직 예비후보자 사전 질문서)에는 논문 중복 게재나 표절 시비 등에 대해 답변토록 돼 있어 청와대가 검증 시스템을 제대로 활용한 것인지, 후보자들이 거짓으로 답변한 것인지 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됐다.

송수연 기자 songsy@seoul.co.kr

2014-06-18 2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