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정갑윤·정우택·최경환 등 거론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3당 원내대표간 청와대 회동에서 소통 강화를 위한 정무장관 부활 방안이 거론되면서 정치권에서는 벌써 적임자에 대한 하마평이 돌고 있다.이명박 정부에서는 특임장관이 행정부와 입법부를 연결하는 정무장관 역할을 했지만 박근혜 정부 들어서면서 이를 폐지함에 따라 양측을 잇는 가교가 끊어졌다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특히 정부조직개편을 위한 입법이 필요한 정무장관 부활을 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 제안하고, 국민의당 박지원 원내대표도 긍정적 반응을 보이자 이른 시일 내에 이에 대한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의 명을 받아 특수한 임무를 수행하는 정무장관은 정부와 여당뿐 아니라 야당과도 긴밀하게 소통해야 하는 만큼 개인적 역량에 따라 성패 여부가 좌우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여권에서는 원외 인사보다는 원내에서, 아울러 초·재선 출신보다는 3선 이상 4∼5선의 중진급에서 맡아야 한다는 얘기가 나온다.
새누리당 한 핵심 관계자는 15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정무장관은 흔히 말하는 대로 똑똑하기만 해서는 안되는 자리”라면서 “청와대를 잘 아는 것은 기본이고 여야 의원들을 설득하려면 그만한 인품과 경륜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요컨대 박근혜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아는 친박(친박근혜)계이면서도 여야를 아우를 수 있는 원로급의 화합형 인사가 적임자라는 의미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당시 친이(친이명박)계 주류였던 이재오 주호영 의원, 고흥길 전 의원이 특임장관을 맡은 전례가 있다.
이에 따라 서청원(8선), 정갑윤(5선), 정우택 최경환(4선), 이학재 이정현(3선) 의원 등이 당 안팎에서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 없이 오르내린다.
정무장관이 신설된다면 정치적 환경이 어려워진 여소야대 국면을 맞아 현 정부에서 역점적으로 추진하는 노동개혁법, 서비스산업발전기본법 등 주요 법안 통과와 산업 구조조정, 세월호 특별법 연장, 가습기 살균제 피해 청문회 등 정치·경제·사회 현안을 풀어야 하는 과제를 담당하게 된다.
다만 서청원 의원은 제20대 국회 전반기 또는 후반기 국회의장에 거론되고, 정우택 최경환 이정현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 가능성이 있어 실제 가능성은 불투명한 상황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