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본격적인 농사철을 맞아 국제사회의 제재에 대응해 ‘식량 자급자족’ 능력을 확보할 것을 촉구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7일 ‘승리의 통장훈(외통수)을 부르자’는 제목의 정론에서 “자체의 힘으로 기어이 먹는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원수들의 그 무슨 ‘고사’작전이라는 것도 물거품으로 만들고 무엇이나 마음먹은 대로 창조해나가겠다는 것이 우리 군대와 인민의 배짱이고 신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식량의 자급자족이야말로 원수들이 무서워 벌벌 떠는 또 하나의 수소탄과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과거) 원수들의 극악한 제재와 압살의 포위환속에서 제일 큰 시련을 겪는 것은 농촌이었다”며 “비료 걱정, 연유 걱정이 언제나 떠날 줄 몰랐고 자연재해가 연이어 겹쳐들어 애써 키운 곡식들이 다 떠내려갈 때면 빗방울보다 더 굵은 눈물을 주르륵 흘리던 사람들”이라고 독려했다.
북한의 이같은 속내는 국제사회의 대북압박이 과거 보다 더욱 촘촘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한당국으로서는 외부에서 그 어떤 지원이나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란 판단아래 내부 자원을 통한 타개책을 마련하려는 의도로 보여진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그러면서 “식량의 자급자족이야말로 원수들이 무서워 벌벌 떠는 또 하나의 수소탄과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과거) 원수들의 극악한 제재와 압살의 포위환속에서 제일 큰 시련을 겪는 것은 농촌이었다”며 “비료 걱정, 연유 걱정이 언제나 떠날 줄 몰랐고 자연재해가 연이어 겹쳐들어 애써 키운 곡식들이 다 떠내려갈 때면 빗방울보다 더 굵은 눈물을 주르륵 흘리던 사람들”이라고 독려했다.
북한의 이같은 속내는 국제사회의 대북압박이 과거 보다 더욱 촘촘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북한당국으로서는 외부에서 그 어떤 지원이나 수급이 불가능한 상태란 판단아래 내부 자원을 통한 타개책을 마련하려는 의도로 보여진다.
문경근 기자 mk522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