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관계의 산증인 통일부 허의옥 기자실장 인터뷰
통일부 허희옥 실장
허 실장은 주요 남북 회담이 열릴 때마다 행사장 예약부터 프레스센터 설치, 취재 지원 등을 도맡아 하는 ‘숨은 조력자’다. 통일부 근무 경력 30년 가운데 23년 동안 기자실을 지킨 허 실장은 지난 4차례의 남북 정상회담을 포함한 남북 관계의 산증인이기도 하다.
허 실장은 17일 DDP 프레스센터에서 서울신문 기자와 만나 “2000년 이후 이산가족 상봉이 21차례 이뤄졌고 남북 고위급 실무회담, 경제협력추진위 등을 겪으며 한 해, 한 해가 바쁘게 지나갔다”며 “어느 날 눈 떠보니 벌써 18년이 지나 있더라”고 했다. 그는 “18년 전 첫 남북 정상회담 때 하나같이 눈물을 흘리던 내외신 기자들이 눈에 선하다”고 회고했다.
지금은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출입기자의 이메일 등을 통해 보도자료가 배포되지만, 18년 전만 해도 모든 보도자료는 허 실장의 손을 거쳐야 했다. 그는 “2000년 정상회담 당시 공동보도문이 나왔을 때 복사본을 들고 기자실에 들어갔는데, 기자들이 달려들어 자료를 채가면서 팔뚝이 종이에 베여 피가 난 적도 있다”고 당시 취재 열기를 전했다. 보도자료를 최대한 빠르고 공평하게 나눠 주기 위해 아르바이트생 16명을 고용하기도 했다. 허 실장은 “예전 아날로그 방식이 그리울 때도 있지만 기자들 입장에서는 지금 디지털화된 방식이 편할 것 같다”고 했다.
그는 북측 관계자들에게도 ‘유명 인사’다. 허 실장은 “회담장에 프레스센터가 차려지면 북측 기자들이 ‘허 선생 어딨어?’라며 일부러 찾아올 때도 있었다”며 “이번 평창올림픽 응원단 방남 때도 일부 북측 기자들이 ‘잘 계시고, 또 보자’며 인사를 건네더라”고 했다.
허 실장은 남북 관계가 경색돼 한가한 것보다 남북 관계가 잘돼 바쁜 게 훨씬 좋다고 했다. 그는 “통일부 출입 기자들이 기삿거리가 없어 ‘오늘은 무슨 기사를 쓸까’라고 고민하지 않고 바쁘게 취재할 수 있는 날이 많았으면 한다”며 “이번 남북 정상회담 결과의 보도자료도 내용이 풍성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장진복 기자 viviana49@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