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3.11.2 오장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02_O2.jpg)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3.11.2 오장환 기자](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02.jpg)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2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생각에 잠겨 있다. 2023.11.2 오장환 기자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지난 1일 전국 만 18세 이상 5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김포 등 서울 근접 중소 도시의 서울시 편입’에 대해 ‘반대한다’는 응답이 58.6%로 집계됐다. ‘찬성한다’는 31.5%,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10.0%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대구·경북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주요 관심지인 인천·경기에서는 반대 65.8%, 찬성 23.7%로 찬반 간 차이가 42.1%포인트로 조사 대상 지역 중 가장 컸다. 편입 대상인 서울에서도 반대가 60.6%로 찬성(32.6%)보다 2배 가까이 높았다.
이외에 ▲대전·충청·세종은 반대 67.5%·찬성 25.5% ▲부산·울산·경남 반대 52.9%·찬성 41.1% ▲광주·전남·전북 반대 45.3%·찬성 34.5% 등에서도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대구·경북에서는 반대 45.7%·찬성 44.3%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그래픽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12_O2.jpg)
![그래픽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12.jpg)
그래픽 연합뉴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과 중도층에서는 반대 의견이, 보수층에서는 찬성 의견이 더 많았다. 직업별로는 무직·은퇴·기타를 제외한 나머지 직업군 모두 반대 의견이 찬성 의견보다 많은 가운데, 특히 판매·생산·노무·서비스 직군에서 반대 비율(69.9%)이 높게 나타났다.
해당 정책의 추진 배경에 대해서는 ‘정치적 이해에 따른 것’이라는 응답 비율이 58.8%로 나타났고, ‘해당 지역 주민의 필요에 따른 것’이라는 응답 비율은 27.3%로 나타났다.
![자료 리얼미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13_O2.png)
![자료 리얼미터](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11/02/SSC_20231102135313.png)
자료 리얼미터
이번 조사의 응답률은 2.8%로, 무선(96%)·유선(4%) 무작위 생성 표집 틀을 통한 임의 전화걸기(RDD)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했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4.4%포인트다. 통계보정은 2023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기준으로 성별, 연령대별, 권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