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통미봉남’에 맘 급해진 정부 외교 ‘무리수’

北 ‘통미봉남’에 맘 급해진 정부 외교 ‘무리수’

입력 2012-03-10 00:00
수정 2012-03-10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리용호 참석’ 美세미나 서둘러 참석…“옵서버 자격→정식 참가” 급히 요청 북측 ‘투명인간’ 취급에 경색만 확인

한국 정부가 북한 문제와 관련, 민망한 ‘굴욕외교’를 펼친 것으로 드러나 비판이 일고 있다. 한국 정부가 7~9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열린 한반도 관련 세미나에 참석하는 과정에서 무리수를 뒀다는 지적이 제기된 것이다.

8일 현지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미 시러큐스대와 독일 프리드리히 에버트 재단이 공동 주최한 이번 세미나는 진보성향의 한인단체인 미주동포전국협회가 두어달 전부터 추진해 열리게 됐다. 이런 까닭에 한국 측 참석자는 백낙청 서울대 명예교수, 임동원 전 통일부장관, 문정인 연세대 교수 등 진보성향의 인사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런데 한국 정부는 리용호 북한 외무성 부상 등 북측 당국자들이 세미나에 참석한다는 소식을 듣고 미 국무부에 이들에 대한 비자 발급 거부를 요청했다는 게 소식통의 전언이다. 결국 ‘2·29 북·미합의’ 직후인 지난 1일 미국 정부가 리 부상 등의 비자를 내주자 이번에는 세미나에 ‘옵서버’ 자격으로라도 참석하게 해 달라고 주최 측에 호소했다고 한다. 하지만 옵서버는 발언권이 없다는 점을 알고는 정식 참가자 자격을 부여해 달라고 다시 요청했다는 것이다. 이러니 다른 참석자들 입장에서는 한국 정부는 ‘불청객’이었던 셈이다.

●북측 “남측과는 사진 안 찍겠다” 냉대

세미나 참석자 중 한 명인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도 기자들에게 “원래 한국 정부는 초청 대상이 아니었는데 무리하게 끼어들었다.”면서 “한국 정부에서 ‘끼워 주지 않으면 세미나를 깨라’고 하니까 어쩔 수 없이 주최 측이 북한에 양해를 구해서 세미나에 참석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렇게 무리를 해서 참석한 세미나에서 한국 정부는 북측으로부터 ‘냉대’를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임성남 외교통상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 등이 리 부상에게 다가가 대화를 시도했지만, 리 부상의 반응은 냉랭했다.”고 전했다. 심지어 북측은 “남측 당국자와 나란히 앉을 수 없다.”거나 “남측과 같이 사진을 찍고 싶지 않다.”고 이의를 제기, 가벼운 소동도 일어났다고 한다. 또 북측 기조발제에 이은 한국 정부 당국자의 토론에 대해 북측은 아예 대꾸를 안 하는 등 ‘투명인간’ 취급을 한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한국 정부가 통미봉남(通美封南)에 대한 국내 비판여론을 의식해 무리수를 둔 것”이라면서 “좀 더 의연하게 할 수 없었는지 아쉽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2006년 4월 비슷한 학술행사에서 6자회담 남북 수석대표 간 회동이 성사된 경험 때문에 낙관적인 판단을 내린 게 패착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리용호 “先북미개선-後북핵해결”

반면 한국 정부와 가까운 다른 외교소식통은 “한국 정부는 이번 세미나가 남북협의를 위한 좋은 기회라고 판단해 주최 측에 참석 의사를 전달했고, 북측으로부터 긍정적 반응을 전달받아 참석하게 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한국 정부 당국자들이 좋은 느낌을 갖고 뉴욕에 왔는데 의외로 북측 반응이 냉랭하자 뭔가 북측 입장에 변화가 생긴 것으로 생각했다는 것이다. ‘판단 미스’가 아니라는 얘기다. 어쨌든 결과적으로 대화 한 번 제대로 못해 본 채 스타일을 구기고 남북관계 경색만 확인한 꼴이라는 비판은 면키 어렵게 됐다.

한편 세미나에서 리 부상은 ‘선(先)북·미 관계 개선-후(後)북핵 해결’을 주장했으며, 임 본부장은 북한이 남북관계에 호응할 것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뉴욕 김상연특파원 carlos@seoul.co.kr

2012-03-10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