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트럼프 첫 정상회담
트럼프 “美노동자에 득 되는 협정 희망”文 “비관세 장벽 있다면 잘못된 것”
양국, 여러 가지 북핵 옵션도 논의
트럼프, 연내 방한 요청 흔쾌히 수락
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미 현지시간) 오전 백악관에서 두 정상의 취임 후 첫 한·미 정상회담을 갖고 한·미자유무역협정(FTA) 중 자동차와 철강분야에 대해 논의했다. 또한 주한미군 방위비분담금 문제도 거론됐다.
한·미 FTA와 방위비 분담은 당초 공식의제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문재인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하고 있으며 공정한 협상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해 한·미 FTA 재협상을 공식화했다. 워싱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1/SSI_20170701012516_O2.jpg)
워싱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하고 있으며 공정한 협상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해 한·미 FTA 재협상을 공식화했다. 워싱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7/01/SSI_20170701012516.jpg)
문재인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단독 정상회담을 시작하기에 앞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이 자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하고 있으며 공정한 협상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해 한·미 FTA 재협상을 공식화했다.
워싱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워싱턴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두 나라는 이런 내용을 명시하지는 않았지만, 포괄적으로 담아낸 공동성명을 채택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은 지속적으로 주장했던 한미 FTA 재협상과 방위비분담금 협상의 ‘출입문’을 열었고, 문 대통령은 대화를 염두에 둔 북핵과 관련한 단계적 접근 프로세스 및 한반도 문제에 있어 한국의 주도적 역할에 대한 공감대를 끌어낸 것으로 풀이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단독·확대 정상회담이 끝난뒤 로즈가든에서 공동언론발표를 통해 “우리가 굉장히 심각한 자동차라든지 철강 무역 문제에 대해 문 대통령께서는 공정한 경쟁의 장을 만들겠다고 말씀했다”면서 “미국 근로자라든지 사업가들, 특히나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공정하게 한국에서 경쟁할 수 있도록 해 주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어 “아울러 한국 측에 중국의 철강 덤핑 수출을 허용하지 말아달라고 촉구했다”면서 “우리 교역관계에서 굉장히 중요한 첫걸음이 될 것이며 미국팀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측과 협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주한미군 주둔의 비용이 공정한 부담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주둔 비용의 분담은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것이며, 특히나 이 행정부에서는 그렇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한미 정상은 제재와 대화를 활용한 단계적이고 포괄적 접근을 바탕으로 북핵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하자는 데 뜻을 같이했다”고 말했다. 또한 “양국 간 경제협력이 동맹의 미래지향적인 발전에 있어 중요한 축이라는데 인식을 같이 했다”며 한미 FTA와 관련한 트럼프 대통령의 요구에 화답했다. 문 대통령은 또한 “양국은 다양한 분야에서 고위급 전략 협의체를 만들어갈 것”이라고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 내외의 연내 방한을 요청했고, 트럼프 대통령은 흔쾌히 이를 수락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청와대는 문 대통령이 오는 6일(현지시간) 독일 함부르크에서 트럼프 대통령, 아베 신조 일본 총리와 한·미·일 3국 정상만찬을 한다고 밝혔다. 청와대 관계자는 “북핵과 미사일 위협 및 북한 문제가 다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워싱턴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7-07-01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