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 내용·의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밝힌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은 한반도 경제지도를 새롭게 그리는 ‘신(新)남방정책’의 실행로드맵 성격을 지닌다. 사람을 중시하는 미래공동체를 만들자는 공동비전을 토대로 2022년까지 5년간에 걸쳐 양측 협력관계를 한반도 주변 4강(미·중·일·러) 수준으로 격상시켜 나가자는 데 있다. 우리나라의 두 번째 교역 대상(연 1188억 달러·302억 달러 흑자)이자 제2의 해외투자 대상(연 51억 달러)·건설수주 시장(연 88억 달러)인 동시에 우리 국민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연 약 599만명) 아세안의 위상에 걸맞게 ‘전략적 동반자’를 넘어 ‘공동체’ 수준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의도가 담겨 있다.![13일(현지시간) 오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문화센터(CCP)에서 열린 제31회 아세안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각국 정상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아우렐리우 구테흐스 동티모르 외교부 장관, 문재인 대통령,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 재신더 아던 뉴질랜드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응우옌 쑤안 푹 베트남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맬컴 턴불 호주 총리,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술탄, 리커창 중국 총리, 훈센 캄보디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통룬 시술리트 라오스 총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마닐라 AP 특약](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13/SSI_20171113175514_O2.jpg)
마닐라 AP 특약
![13일(현지시간) 오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문화센터(CCP)에서 열린 제31회 아세안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각국 정상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아우렐리우 구테흐스 동티모르 외교부 장관, 문재인 대통령,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 재신더 아던 뉴질랜드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응우옌 쑤안 푹 베트남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맬컴 턴불 호주 총리,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술탄, 리커창 중국 총리, 훈센 캄보디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통룬 시술리트 라오스 총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마닐라 AP 특약](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13/SSI_20171113175514.jpg)
13일(현지시간) 오전 필리핀 마닐라 필리핀문화센터(CCP)에서 열린 제31회 아세안 정상회의 개막식에서 각국 정상들이 손을 맞잡고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아우렐리우 구테흐스 동티모르 외교부 장관, 문재인 대통령, 나집 라작 말레이시아 총리, 재신더 아던 뉴질랜드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러시아 총리, 응우옌 쑤안 푹 베트남 총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맬컴 턴불 호주 총리,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술탄, 리커창 중국 총리, 훈센 캄보디아 총리,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 통룬 시술리트 라오스 총리,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마닐라 AP 특약
마닐라 AP 특약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14/SSI_2017111400342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14/SSI_20171114003425.jpg)
한·아세안 미래공동체 구상은 ‘3P’로 요약된다. ‘더불어 잘사는(Prosperity) 사람 중심의(People) 평화(Peace) 공동체’ 구현이다. 핵심 개념은 ‘사람’이다. 문재인 정부의 국정철학인 ‘사람이 먼저다’와 아세안이 추구하는 ‘사람 지향, 사람 중심’의 공동체 비전이 일치하는 점에 주목, 양측 국민이 고루 혜택을 누리는 쪽으로 협력을 강화한다는 의미다.
그동안의 한국과 아세안 협력은 2010년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맺은 이후 주로 정치·안보·경제협력에 중점을 두면서 민간분야 협력에는 한계가 있었다. 때문에 아세안 창설 50주년인 올해를 ‘한·아세안 문화교류의 해’로 지정하고 다양한 문화·인적교류를 추진해 나가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임기 내 아세안 회원국 10개국을 모두 방문하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재정적으로도 한·아세안 협력 강화를 뒷받침하겠다는 입장이다. 문 대통령은 ‘역내 연계성 증진’을 목표로 ▲교통 ▲에너지 ▲수자원 관리 ▲스마트 정보통신 등 4대 분야를 중점 협력분야로 정하고 관련 지원예산과 기금을 대폭 확대해 나간다는 구상을 밝혔다. 특히 자발적 국제기구 분담금 형태인 한·아세안 협력기금을 2019년까지 현재(2015년 이후)의 연간 700만 달러에서 2배로 증액하기로 했다. 현재 3730억원(정부출연 400억원+공공기관 1600억원+민간 1730억원) 규모인 한국의 글로벌 인프라펀드에 2022년까지 1억 달러를 추가 조성하기로 했다. 아울러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협력기금도 대폭 증액해 2020년까지 교역규모 2000억 달러 목표를 달성하겠다고 밝혔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글로벌 인프라펀드는 우리 기업의 해외 건설 수주를 지원하기 위한 것인데, 그중 아세안 진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추가 재원을 마련하겠다는 뜻”이라며 “2022년까지 1억 달러를 추가 조성하는 것이니 5년으로 따지면 연간 200억원가량 늘어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마닐라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17-11-14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