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YT 인터뷰서 “하노이 토대서 협상
北, 미중 갈등 격화되면 이용할 수도”
새달 방미 앞두고 중재자 역할도 주목

뉴욕타임즈와 인터뷰하는 문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9일 청와대 상춘재에서 뉴욕타임즈와 인터뷰하고 있다. 2021.4.21 [청와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1일 “조 바이든 대통령은 지금 북한과 대화를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비핵화 방법론으로는 동시·단계적 접근이 현실적이며, 단계별로 미국의 양보가 맞아 들어가면 궁극적으로 ‘불가역적’ 비핵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중 갈등이 격화된다면 북한이 갈등을 유리하게 활용하거나 이용하려고 할 수도 있다”며 미국이 북한은 물론 기후변화 등을 고리로 중국과도 협력해야 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미국 뉴욕타임스(NYT)와의 인터뷰에서 외교적 진전이 2년 동안 멈췄고 심지어 후퇴한 지금, 바이든 대통령이 협상에 시동을 걸어 줄 것을 강하게 요청했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를 한반도의 ‘생존의 문제’라고 표현했다.
NYT는 다음달 바이든 대통령을 만날 예정인 문 대통령은 다시 중재자 역할에 나설 준비가 돼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시절의 비핵화 협상에 대해 “변죽만 울렸을 뿐 완전한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하루빨리 마주 앉는 것이 문제를 해결하는 가장 중요한 출발점”이라고 거듭 밝혔다.
문 대통령은 “바이든 대통령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실제적이고 불가역적인 진전을 이룬 역사적인 대통령이 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전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018년 싱가포르 합의를 폐기하는 것은 실수가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트럼프 정부가 거둔 성과 토대 위에서 진전시켜 나간다면 그 결실을 바이든 정부가 거둘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북측이 유일한 협상카드를 잃지 않기 위해 핵무기들을 한 번의 합의로 포기하지 않을 것이기에 단계적 접근이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가장 현실적이라는 취지를 밝혔다. 문 대통령은 협상의 관건을 “서로 신뢰할 수 있는 로드맵을 고안해 내는 것”이라고 했다. 다만 NYT는 ‘북한과 관련해 이룰 수 있는 진전에 대해 문 대통령은 기대하고 있지만, 북미 간 깊은 불신을 감안하면 큰 돌파구를 기대하는 것은 비현실적일 수 있다’고 평가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1-04-22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