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일부 학생들이 26일 교내 학생회관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분향소 설치를 강행했으나 학교 측이 이를 철거했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열흘째인 26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학생회관에서 한 학생이 김 위원장의 분향소를 설치했다.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농생명과학대학 학생 박모(22.여)씨와 남학생 2명은 이날 낮 12시4분께 국화꽃 한 다발과 책상, 향로 등을 들고 학생회관 1층 식당 앞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검은색 옷을 입은 박씨 등은 김정일 위원장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6·15 남북정상회담 당시 손을 잡고 찍은 사진을 책상에 올렸다.
그러나 이들이 분향을 시도하자 현장에서 대기하던 본부 직원들이 이를 제지했고 박씨와 10분여간 설전을 벌였다. 이어 박씨 등이 철수하자 교내 청원경찰과 직원들은 곧바로 분향소를 철거했다.
김상범 학생과장은 박씨에게 “캠퍼스 이용 규정에 의해 시설물 설치는 허가를 받게 돼 있다. 사전에 고지한 대로 (분향소 설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고, 박씨 등은 “최소한의 예우이니 하루만 설치할 수 있게 해 달라”며 맞섰다.
앞서 박씨는 중앙도서관 인근 게시판에 대자보를 붙여 “남북 화해와 한반도 평화의 마음을 담은 분향소 설치에 많은 분의 뜻이 함께 모이기를 바란다”며 학내 분향소 설치를 제안했다.
이날 본부 직원과 청원경찰 10여명, 취재진 수십 명이 학생회관에 몰려 극심한 혼잡이 빚어졌으며 서울대 학생 50여명도 주위를 둘러싸고 현장을 지켜봤다.
박씨는 분향소 철거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다른 시설물에 대해서는 학교가 전혀 이러지 않았는데 북한에 관한 것(이라 이러는 것 같다)”며 “학교가 정부와 언론의 행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철거가) 예상됐던 부분”이라며 “학생들이 접근조차 하지 못했는데 치워서 아쉽다. 원래 오늘 몇 시간만 설치하려고 했기 때문에 다시 설치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열흘째인 26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학생회관에서 한 학생이 김 위원장의 분향소를 설치했다.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26/SSI_20111226133434.jpg)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열흘째인 26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학생회관에서 한 학생이 김 위원장의 분향소를 설치했다.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26/SSI_20111226133434.jpg)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 사망 열흘째인 26일 오후 서울 관악구 서울대 학생회관에서 한 학생이 김 위원장의 분향소를 설치했다.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노컷뉴스 www.nocutnews.co.kr
농생명과학대학 학생 박모(22.여)씨와 남학생 2명은 이날 낮 12시4분께 국화꽃 한 다발과 책상, 향로 등을 들고 학생회관 1층 식당 앞에 분향소를 설치했다.
검은색 옷을 입은 박씨 등은 김정일 위원장과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이 6·15 남북정상회담 당시 손을 잡고 찍은 사진을 책상에 올렸다.
그러나 이들이 분향을 시도하자 현장에서 대기하던 본부 직원들이 이를 제지했고 박씨와 10분여간 설전을 벌였다. 이어 박씨 등이 철수하자 교내 청원경찰과 직원들은 곧바로 분향소를 철거했다.
김상범 학생과장은 박씨에게 “캠퍼스 이용 규정에 의해 시설물 설치는 허가를 받게 돼 있다. 사전에 고지한 대로 (분향소 설치를) 인정할 수 없다”고 말했고, 박씨 등은 “최소한의 예우이니 하루만 설치할 수 있게 해 달라”며 맞섰다.
앞서 박씨는 중앙도서관 인근 게시판에 대자보를 붙여 “남북 화해와 한반도 평화의 마음을 담은 분향소 설치에 많은 분의 뜻이 함께 모이기를 바란다”며 학내 분향소 설치를 제안했다.
이날 본부 직원과 청원경찰 10여명, 취재진 수십 명이 학생회관에 몰려 극심한 혼잡이 빚어졌으며 서울대 학생 50여명도 주위를 둘러싸고 현장을 지켜봤다.
박씨는 분향소 철거 직후 기자들과 만나 “다른 시설물에 대해서는 학교가 전혀 이러지 않았는데 북한에 관한 것(이라 이러는 것 같다)”며 “학교가 정부와 언론의 행태를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철거가) 예상됐던 부분”이라며 “학생들이 접근조차 하지 못했는데 치워서 아쉽다. 원래 오늘 몇 시간만 설치하려고 했기 때문에 다시 설치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