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 눈치보는 채식남들

[제대로 먹지 못하는 사람들] 눈치보는 채식남들

입력 2012-04-02 00:00
수정 2012-04-02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음식 가리는 남자 싫다” “못 먹는게 어딨나” 편견에 포기 많아

게임회사에 근무하는 김모(30)씨는 어린 시절부터 주로 채식을 해 왔다. 고기를 먹어도 별맛을 느끼지 못한 데다 소화도 잘 안 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 들어 채식주의자로 산다는 것이 전혀 쉽지 않음을 새삼 느끼고 있다. 군대 시절에는 ‘남자가 못 먹는 게 어딨느냐.’는 고참들의 압박에 식사 때마다 곤욕을 치렀다. 또 소개팅 과정에서 한 여성으로부터 “음식을 가린다.”는 이유로 퇴짜를 맞았다. 김씨는 “식성이 전부가 아닌데 채식한다는 말만 듣고 편견을 갖는 건 잘못”이라고 말했다.

취업준비생 강모(27)씨는 채식을 결심했다가 포기했다. 지난해 구제역 파동 때 TV에서 살처분되는 가축들은 본 뒤부터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생각을 접었다.

강씨는 “친구들이 다른 식사 장소를 찾아야 하고 주변 시선도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분명 채식에 대한 사회적 관심은 늘어났다. 하지만 채식주의자를 바라보는 사회적 분위기는 ‘까탈스럽다.’는 것이다. 남성이 ‘채식한다.’고 하면 시선이 곱지 않다. ‘남자다워야 한다.’는 기존의 사회적 인식이 식습관을 강제하고 있어서다.

채식하는 사람들은 남성보다 여성이 훨씬 많다. 채식동호회인 온라인 카페 ‘한울벗채식나라’의 전체 회원 5만 3471명(3월 28일 기준) 가운데 여성이 74.0%인 3만 9548명을 차지하고 있다. 남성이 26.0%인 1만 3923명이다.

한국채식연합 등 다른 채식 동호회에서도 여성 비율은 60% 이상이다. 이원복 한국채식연합 대표는 “여성의 채식은 미용이나 다이어트 등의 이유로 받아들여지기도 하지만 남성의 채식은 특별한 질병이 있기 전에는 보는 눈이 곱지 않다.”고 밝혔다. 문제는 우리 사회가 근본적으로 식성을 포함한 소수 의견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녹색당은 최근 군대 등의 단체 메뉴에서 채식이 의무화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섰다.

장정화 녹색당 비례대표는 “좋아하는 먹을거리를 선택하는, 어쩌면 너무 당연한 개인의 행복추구권이 침해받지 않도록 개인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존중하는 문화가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경헌기자 baenim@seoul.co.kr

2012-04-02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