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현대미술의 거장’ 이우환 화백의 작품을 모사해 위작을 만들어 판매한 혐의로 기소된 화랑 운영자 현모(66)씨가 법정에서 위작 사실을 시인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동아 부장판사) 심리로 28일 열린 현씨의 첫 번째 공판 준비 기일에서 현씨 측 변호인은 “처벌을 감수하고 위조 혐의는 모두 인정한다”고 밝혔다.
변호인은 다만 “위조는 했지만 직접 그림 판매 행위에 가담한 사실은 없다”며 사기 혐의는 부인했다.
현씨는 재판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도 “공범들의 사기 범행 제안을 받고 수동적으로 응한 정도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씨는 ‘점으로부터’ 등 이 화백 작품 3점을 위조해 팔아 총 13억2천500만원을 챙긴 혐의(사서명위조·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등)로 이달 초 기소됐다.
검찰은 현씨가 ‘점으로부터’, ‘선으로부터’를 모방해 50여점을 위작했다고 진술해 계속 수사중이다.
연합뉴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김동아 부장판사) 심리로 28일 열린 현씨의 첫 번째 공판 준비 기일에서 현씨 측 변호인은 “처벌을 감수하고 위조 혐의는 모두 인정한다”고 밝혔다.
변호인은 다만 “위조는 했지만 직접 그림 판매 행위에 가담한 사실은 없다”며 사기 혐의는 부인했다.
현씨는 재판부에 제출한 의견서에서도 “공범들의 사기 범행 제안을 받고 수동적으로 응한 정도에 불과하다”는 취지로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현씨는 ‘점으로부터’ 등 이 화백 작품 3점을 위조해 팔아 총 13억2천500만원을 챙긴 혐의(사서명위조·특정경제범죄 가중처벌법상 사기 등)로 이달 초 기소됐다.
검찰은 현씨가 ‘점으로부터’, ‘선으로부터’를 모방해 50여점을 위작했다고 진술해 계속 수사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