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5년내 신혼부부 절반 자녀無…집은 없고 빚은 늘었다

결혼 5년내 신혼부부 절반 자녀無…집은 없고 빚은 늘었다

이보희 기자
입력 2021-12-09 14:38
수정 2021-12-09 14: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유자녀 신혼부부 55.5%로 2%p↓·평균 자녀 0.68명
주택 소유 비중 줄었는데 대출은 18% 늘어
무주택보다 유주택, 맞벌이보다 외벌이가 자녀 많아

이미지 확대
코로나 19에도 결혼을 더 이상 미룰수 없는 예비 부부들의 고민이 깊다. 서울신문 DB
코로나 19에도 결혼을 더 이상 미룰수 없는 예비 부부들의 고민이 깊다. 서울신문 DB
결혼 1∼5년 차 신혼부부 가운데 절반 가까이 자녀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을 소유한 신혼부부 비중(42.1%)은 전년보다 0.8%포인트 줄었는데 신혼부부가 보유한 대출잔액은 1억3000여만원으로 18% 이상 늘었다.

통계청은 9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0년 신혼부부통계’를 발표했다.

지난해 11월 1일 기준으로 혼인을 신고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았고 국내에 거주하면서 혼인 관계를 유지 중인 부부가 대상이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자녀가 있는 부부의 비중은 55.5%로 1년 전보다 2.0%포인트 떨어졌다. 평균 자녀 수는 0.68명으로 0.03명 줄었다.

자녀가 있는 초혼 신혼부부 비중은 2015년 64.5%에서 2016년 63.7%, 2017년 62.5%, 2018년 59.8%, 2019년 57.5% 등으로 계속 감소하는 추세다.

5년 차 부부로 좁혀 봐도 5쌍 중 1쌍꼴로 자녀가 없었다. 지난해 5년 차 신혼부부 중 자녀가 없는 부부의 비중은 20.4%로 1년 전보다 2.1%포인트 늘었다.

평균 자녀 수는 주택을 소유한 부부(0.76명)가 무주택인 부부(0.62명)보다, 외벌이 부부(0.76명)가 맞벌이 부부(0.60명)보다 많았다.

초혼 신혼부부 중 1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의 비중은 42.1%로 1년 전보다 0.8%포인트 줄었다.

자가 보유 비중이 줄었지만 신혼부부의 대출 잔액은 오히려 늘었다.

대출이 있는 초혼 신혼부부의 비중은 87.5%로 1.7%포인트, 이들의 대출 잔액 중앙값도 1억3천258만원으로 전년보다 18.3% 증가했다. 집값과 전셋값 상승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부부 합산 연간 평균 근로·사업소득은 5989만원으로 1년 전보다 4.9% 늘었다. 소득의 중앙값은 5300만원으로 3.7% 증가했다.

3000만원 이상 5000만원 미만을 버는 가구는 23.3%로 가장 많았다. 합산소득이 7000만원 이상인 부부는 31.1%였다.

초혼 신혼부부 가운데 맞벌이 부부 비중은 52.0%로 전년보다 2.9%포인트 늘었다. 모든 연차에서 맞벌이가 외벌이보다 많아진 것은 작년이 처음이다.

맞벌이 가구의 평균 소득은 7709만원으로 외벌이 부부(4533만원)의 약 1.7배였다.

자녀뿐 아니라 신혼부부 수 자체도 줄었다.

지난해 신혼부부는 118만4000쌍으로 전년 대비 6.1% 감소했다. 특히 결혼 1년 차 부부가 9.4% 줄었다.

전반적으로 혼인이 감소하는 추세인데다가 작년에는 코로나19 사태로 결혼을 미루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통계청은 “연차가 낮을수록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드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초혼 신혼부부가 만 5세 이하 자녀를 키울 때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비중은 48.5%로 전년보다 1.8%포인트 줄었다.

맞벌이 부부는 어린이집(53.2%)이 가정양육(40.3%)보다 많고, 외벌이 부부는 가정양육(49.0%)이 어린이집(44.6%)보다 많았다.

초혼 신혼부부의 주된 주거 유형은 아파트(71.7%)다. 아파트 거주 비중은 전년 대비 1.9%포인트 늘었다.

신혼부부의 범위를 혼인 7년 이내로 넓혀보면 자녀가 있는 부부는 전체의 67.1%이고, 평균 자녀 수는 0.98명이었다. 부부 중 한 명이라도 주택을 소유한 비중은 48.2%이고, 맞벌이 비중은 48.3%였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