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간경변 → 간암’ 진행 막으려면

[Weekly Health Issue] ‘간경변 → 간암’ 진행 막으려면

입력 2011-07-11 00:00
업데이트 2011-07-1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年 2회 이상 정기 초음파·혈액 검사해야

간경변 환자가 현실적으로 가질 수 있는 가장 심각한 고민 중의 하나가 바로 간암으로의 진행이다. 확실히 간경변은 간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간경변 환자의 경우 연 2회 이상 정기적으로 초음파검사와 혈액검사를 통해 간암으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국가에서도 이와 관련한 관리를 권장·지원해 경제적 부담도 크지 않다.

세간에 “간 때문이야.”라는 카피가 유행이다. 의학적으로 옳은 표현은 아니지만 가능한 얘기이기는 하다. 사실 일상적인 사소한 관심의 차이가 “간 때문이야.”와 “간 덕분이야.”로 갈리는 게 바로 간 건강이다. 흔히 간을 ‘침묵의 장기’라고 한다. 병증이 진행되어도 증상이 거의 없다가 치명적인 상황에서야 실체를 드러내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의학적으로 문제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 그렇다고 방치해서는 안 된다. 더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서야 한다.

해법은 한시라도 빨리 병을 인지하는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평소 간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정기적인 진료가 최선이다. 이상 유무는 간단한 혈액검사로 비교적 쉽게 확인된다. 한광협 교수는 “간경변이 되려면 적어도 10년 이상, 보통은 20∼40년에 걸쳐 간에 염증 등의 손상이 지속적·반복적으로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평소 조금만 관심을 가지면 예방이 가능하다.”면서 “간의 이상이 이미 간경변으로 진행한 경우라도 포기하지 말고 간암 조기진단과 간질환 관리를 철저히 하면 간경변 자체로 사망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중요한 것은 합병증의 예방과 관리다. 한 교수는 “설사 간경변이 진행되어 합병증이 생긴 경우라도 꾸준히 전문적인 관리를 받으면 간이식을 받지 않고도 회복될 수 있으며, 최악의 경우 간이식을 통해서도 정상적인 삶을 누릴 수 있다.”고 조언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07-11 24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