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신규 감염 20~30대 비중 60%로 증가

에이즈 신규 감염 20~30대 비중 60%로 증가

최광숙 기자
최광숙 기자
입력 2019-11-28 22:42
수정 2019-11-29 06: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작년 감염자 1206명 중 723명 차지

감염인지·치료율 2023년 90% 목표
HIV 간이검사 전국 보건소로 확대
20~30대의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 감염이 점차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가 28일 발표한 ‘후천성면역결핍증 예방관리 대책’에 따르면 현재 에이즈 감염자는 모두 1만 2291명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신규 감염인의 연령은 20대가 32.8%(395명), 30대 27.2%(328명)로 20∼30대 젊은 연령대가 전체 감염인의 60.0%(723명)를 차지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는 전년에 비해 2.5% 포인트 증가하고 2013년 대비 7.2% 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젊은 세대들의 개방적인 성의식이 에이즈 감염을 높이고 있다는 지적이다.

우리나라의 지난해 신규 감염인은 1206명으로 전년 대비 1.3%(16명) 증가했다. 내국인은 1.9%로 감소한 반면 외국인은 19.2% 증가했다. 하지만 내국인의 생존 감염인은 10년 전에 비해 2.6배나 증가한 1만 2991명이고, 65세 이상 고령 감염인은 7.8%(1010명)로 2013년 이후 연평균 14.4% 증가했다.

정부는 2023년까지 이들의 치료율과 감염인지를 각각 90%로 끌어올리기 위해 조기 진단을 강화하는 등의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조기 발견과 조기 진단 체계를 강화하고 환자·접촉자 관리, 연구개발·예방치료, 홍보를 강화한다. 조기에 감염을 인지할 수 있도록 HIV 노출 후 검사 권고 시기를 기존 12주에서 4주로 단축한다. 음성인 경우에는 재검사를 6주, 12주에 하도록 권고한다. 현재 HIV 간이검사를 시행하는 보건소는 96곳으로 전체 37% 수준이지만 2023년에는 전국 보건소로 확대한다. 감염취약집단(고위험군) 검진율 향상을 위해 에이즈예방센터도 기존 5곳에서 2023년 7곳으로 늘리기로 했다.

최광숙 선임기자 bori@seoul.co.kr

2019-11-29 1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