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62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1205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53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1210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55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1212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52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71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72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806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8/11/19/SSI_20181119101830_O2.jpg)
박 전 대법관은 재임 기간 중 양승태 사법부의 각종 사법농단 의혹이 집중됐던 2014년 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2년간 법원행정처장으로 근무했다. 검찰은 박 전 대법관이 전임 법원행정처장에 이어 김기춘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의 공관에서 외교부 등과 함께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민사소송과 관련해 재판 지연 및 전원합의체 회부, 판결 방향 등에 대해 논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 2018.11.19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