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어 나이들어 힘들다는 것은 ‘거짓말’?

외국어 나이들어 힘들다는 것은 ‘거짓말’?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05-02 20:05
수정 2018-05-02 20:0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외국어 학습과 관련한 두뇌 기능이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 달리 성인이 된 뒤에도 활발히 작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외국어 배우는데는 나이가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물리학회 제공
외국어 배우는데는 나이가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미국 물리학회 제공
미국 보스턴대, 매사추세츠공대(MIT), 하버드대 공동연구팀은 외국어의 문장 구조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하는데 나이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세계적인 인지과학자 스티븐 핑커 하버드대 교수도 참여한 이번 연구의 결과를 담은 논문은 인지과학 분야 국제학술지 ‘코그니션’ 1일자(현지시간)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온라인 단어와 문법 퀴즈 사이트를 만든 뒤 이곳을 방문한 약 70만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와 퀴즈 결과를 분석했다. 이는 언어 학습 능력과 시기에 관한 지금까지 연구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고, 분석 대상의 절반가량이 영어를 외국어로 활용하는 사람들이다.

기존에는 17~18세 이전에 외국어를 공부해야 새로운 언어의 문법을 쉽게 이해하고 사용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었지만 연구팀은 이보다 훨씬 늦은 27~28세에 외국어를 공부하더라도 새로운 언어의 규칙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다는 분석 결과를 내놨다.

또 30세 이후에 외국어 공부를 할 경우 어려서 공부를 시작한 사람들보다 언어 구조와 단어를 기억하는데 시간이 더 걸릴 뿐이지 언어 구사 능력에 있어서는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외국어를 모국어처럼 구사하기 위해서는 10살 전후로 학습을 시작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모국어의 언어 구조도 완전히 습득하지 못한 어린 나이에 외국어 학습을 시작할 경우 모국어 구사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기존 연구 결과도 재확인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