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농구연맹(KBL)이 사상 첫 9월 개막을 결정하면서 부작용이 속출할 것이라는 우려가 많다. 구단들이 체육관 대관 등 시즌 준비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해외 전지훈련도 제대로 치르지 못할 것이라는 걱정이 나온다. 또 개막 직후 열리는 국제경기로 인해 주요 선수들이 체력 부담을 느낄 것이라는 염려도 있다.
KBL이 지난 11일 이사회에서 올 시즌 개막일을 9월 12일로 잡은 것은 하락한 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프로농구는 2002~2003시즌부터 10월에 개막했는데, 이때는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언론과 팬의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다.
또 이듬해 3~4월 열리는 프로농구 플레이오프는 프로야구 정규리그 개막과 맞닿아 있어 역시 관심이 분산된다. 심지어 최대 축제인 챔피언결정전이 프로야구 열기에 치여 중계 시간을 바꾸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9월에 개막하면 챔피언결정전을 프로야구 개막 전인 3월 말 이전에 끝낼 수 있다.
하지만 지난 시즌보다 한 달이나 일정이 빨라지면서 각 구단은 체육관 대관을 서둘러야 하는 등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또 개막 2주 뒤 추석 연휴가 있어 경기 진행 관련 인력을 구하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보통 9월에 떠나는 전지훈련 일정 역시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한 구단 관계자는 “7월 열리는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와 다른 일정을 고려하면 올 시즌에는 전지훈련을 치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9월 23일부터 열흘간 중국 후난성에서 열리는 아시아선수권도 시즌 초반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다. 이 대회는 내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본선 티켓이 걸린 중요한 대회라 각 팀에서 정예 멤버를 차출해야 하고, 팬들은 스타 없는 경기를 봐야 한다. 되돌아온 국가대표들이 체력 부담과 후유증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인천아시안게임 금메달 주역인 조성민(KT)은 무릎 부상으로 시즌 초반 출전하지 못했고 문태종(LG) 등은 심각한 컨디션 난조를 겪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KBL이 지난 11일 이사회에서 올 시즌 개막일을 9월 12일로 잡은 것은 하락한 인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선택한 일종의 고육지책이다. 프로농구는 2002~2003시즌부터 10월에 개막했는데, 이때는 프로야구 포스트시즌에 언론과 팬의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다.
또 이듬해 3~4월 열리는 프로농구 플레이오프는 프로야구 정규리그 개막과 맞닿아 있어 역시 관심이 분산된다. 심지어 최대 축제인 챔피언결정전이 프로야구 열기에 치여 중계 시간을 바꾸는 수모를 겪기도 했다. 9월에 개막하면 챔피언결정전을 프로야구 개막 전인 3월 말 이전에 끝낼 수 있다.
하지만 지난 시즌보다 한 달이나 일정이 빨라지면서 각 구단은 체육관 대관을 서둘러야 하는 등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또 개막 2주 뒤 추석 연휴가 있어 경기 진행 관련 인력을 구하기도 쉽지 않을 전망이다. 보통 9월에 떠나는 전지훈련 일정 역시 대대적인 변화가 불가피하다. 한 구단 관계자는 “7월 열리는 외국인 선수 드래프트와 다른 일정을 고려하면 올 시즌에는 전지훈련을 치르지 못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9월 23일부터 열흘간 중국 후난성에서 열리는 아시아선수권도 시즌 초반 흥미를 반감시킬 수 있다. 이 대회는 내년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 본선 티켓이 걸린 중요한 대회라 각 팀에서 정예 멤버를 차출해야 하고, 팬들은 스타 없는 경기를 봐야 한다. 되돌아온 국가대표들이 체력 부담과 후유증을 느낄 가능성도 있다. 지난해 인천아시안게임 금메달 주역인 조성민(KT)은 무릎 부상으로 시즌 초반 출전하지 못했고 문태종(LG) 등은 심각한 컨디션 난조를 겪었다.
임주형 기자 hermes@seoul.co.kr
2015-05-13 2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