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적 우주개발 노하우 가진 미 나사 등과 협력 본격화 전망
박근혜 대통령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정상회담에서 우주협력협정 체결을 추진하기로 함에 따라 달 탐사 등 정부가 추진 중인 우주개발 프로그램이 한층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17일 정부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우주개발 분야에서 우주협력협정 체결을 추진하기로 했다. 우주협력협정에 담길 구체적 내용은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우주협력협정이 체결되면 우주개발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한미 간 공동협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 협정이 없으면 개별 사업 추진 때마다 협정 체결 절차를 밟아야 하지만 협정이 있으면 그럴 필요가 없다.
이는 그동안 한국의 주된 우주협력 파트너가 러시아였다는 점에서 이 분야 파트너가 미국으로 확대된다는 의미를 띤다.
나로호 발사체 개발이나 우주인 훈련 등 그간의 우주개발은 주로 러시아와의 협력을 통해 이뤄졌다.
우주개발 분야의 한미 간 협력은 민간 연구소·실험실 차원의 작은 사업들이 대부분이었는데 우주협력협정이 체결되면 앞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우주개발 노하우를 가진 미국 항공우주국(NASA) 등과의 협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정부 관계자는 “우주개발과 관련해 한미 간에는 정부 차원에서 큰 프로그램을 같이한 게 거의 없었다”며 “협정이 체결되면 우주개발 협력국이 러시아에서 미국으로도 확대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특히 미국과의 협력은 정부가 추진 중인 달 탐사 사업에도 큰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2018년까지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20년까지는 달 착륙선·탐사선을 발사한다는 목표다.
정부는 이르면 연내에 우주협력협정을 체결한다는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 7월에 이어 내년에는 제2차 한미 우주협력회의도 열릴 예정이다. 한미 우주협력회의는 미 나사를 포함한 민간 분야 간 협력을 논의하는 채널이다. 국내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등이 협력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다.
이 밖에 인공위성을 이용한 ‘한미 대기의 질에 대한 현장연구 양해각서’를 포함해 우주개발 협력을 위한 각종 협정을 체결하고, 내년에 제7차 우주협력실무회의와 제2차 한미 우주정책대화를 개최하는 것도 정상회담의 성과로 꼽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