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북한이 지난 20일 두 차례에 걸쳐 포격 도발을 감행하고 제2의 도발을 예고하는 것과 관련해 국제사회에 상황을 설명하고 추가 도발을 억제하기 위한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미국을 비롯한 주요국 및 유엔을 포함한 국제사회에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북한의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한 협조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정부는 특히 북한에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중국과 러시아에도 주한 대사관과 현지 공관 등을 통해 북한의 도발 상황과 정부의 대응을 설명하고 추가 도발을 막기 위한 관련국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은) 그 어떤 긴장 조성 행위에도 반대한다”며 “조선반도(한반도)의 이웃으로서 반도의 국면과 동향을 고도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도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의 전화통화에서 “현 상황에 대해 심각히 우려하고 있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남북한뿐 아니라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직접 비판 대신 남북 모두의 자제를 촉구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1일 발표한 성명에서 “(중국은) 그 어떤 긴장 조성 행위에도 반대한다”며 “조선반도(한반도)의 이웃으로서 반도의 국면과 동향을 고도로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도 황준국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과의 전화통화에서 “현 상황에 대해 심각히 우려하고 있다”며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이 남북한뿐 아니라 중국의 이익에도 부합한다”고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러시아는 북한에 대한 직접 비판 대신 남북 모두의 자제를 촉구했다.
이제훈 기자 parti98@seoul.co.kr
2015-08-22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