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대밭 주택·포탄 파편… 영화 속 전쟁터 같았다”

“쑥대밭 주택·포탄 파편… 영화 속 전쟁터 같았다”

입력 2010-11-25 00:00
수정 2010-11-25 00:3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여·야 대변인이 전한 처참한 연평도

“처참함 그 자체다. 집은 무너져 폐허로 변했고, 영화 속의 전쟁터나 다름없었다.”

한나라당 안형환·민주당 이춘석 대변인은 24일 각각 당 지도부와 함께 북한의 무차별 포격으로 큰 피해를 당한 연평도를 직접 둘러본 뒤 이같이 전했다.

안 대변인이 안상수 대표 등과 함께 연평도에 도착하자마자 가장 먼저 마주친 것은 상공으로 피어오르는 검은 연기였다. 포격 직후 수십m까지 치솟았던 불길은 진화됐지만, 야산에 남아 있는 잔불이 연기를 뿜고 있었던 것이다. 안 대변인 일행을 태운 헬기는 포 사격으로 파괴된 해병대 착륙장 대신 인근 초등학교 운동장에 착륙해야 했다.

마을 곳곳에는 포탄 파편이 나뒹굴고 있었고, 면사무소 지붕은 폭발 충격으로 날아가 버렸다. 보건소 담벼락은 형체를 알아보기 어려울 정도로 허물어져 있었다.

특히 보건소 진료실 침대에는 피 묻은 거즈가 그대로 놓여 있었고, 바닥에는 엑스레이 사진이 흩어져 있어 포격 당시의 긴박함을 고스란히 보여주고 있었다. 지난달 말 개장한 인조잔디 구장도 쑥대밭이 됐다. 그러나 다행히 북한의 도발 당시 대다수 주민은 바닷가로 나가 굴을 따고 있거나 산에서 나무를 심고 있어 인명 피해가 크지 않았다고 마을 주민들은 전했다.

남대리 주민 차태정씨는 “집을 나오고 있는데 50m 뒤에 포탄이 떨어졌다.”면서 “뒤쪽이 불바다가 되는 모습을 봤다.”고 아찔했던 당시 상황을 전했다.

민주당 지도부와 함께 연평도를 찾은 이춘석 대변인이 전한 상황도 마찬가지였다. 건물 곳곳에 파편 자국이 선명했고, 이들이 찾은 지역의 야산은 화재로 불타버렸다.

이 대변인은 민간인 사망자 시신 2구를 발견한 과정을 소개했다. 그는 “민간인 사망자 시신을 직접 확인할 수는 없었지만, 사망 장소인 공사장 컨테이너박스 주변에 장기의 일부로 보이는 것들이 흩어져 있었다.”고 전했다.

이 대변인은 또 “군은 전사한 해병대 서정우 하사와 문광욱 일병이 포 파편에 의해 숨진 것으로 추정했다.”면서 “서 하사는 휴가를 가려고 배를 타러 부두로 나갔다가 복귀 명령을 받고 부대원들과 돌아가던 중 길옆으로 떨어지는 파편에 맞았다.”고 밝혔다. 이어 “이들 3명 중 2명은 발견한 지휘관이 치료 가능하다고 판단, 부대로 이동시켜 진료를 받게 해 생명을 건졌고 서 하사는 상처가 너무 심해 구호 조치를 취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해병대는 또 문 일병의 사망 원인에 대해 “사격개시 전에 통합생활관 옆 대피소에 60명이 대피해 있었는데 벙커 내 전기·식사시설·화장실이 없어서 4~5명이 밖에 나와 있었다.”면서 “문 일병은 그때 인근에 떨어진 포 파편에 의해 사망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민주당 측에 밝혔다.

이 대변인은 특히 군(軍)이 민간인 대책을 마련하는 데 소홀했다고 질타했다. 군사시설과 마을의 거리가 800m에 불과해 포탄 피해가 예상됐는데도 2차례 대피 방송을 한 것 외에는 별다른 대책을 마련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강주리·김정은기자 jurik@seoul.co.kr
2010-11-25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