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월 총선 비례대표 후보 공천에 본격 나서면서 박근혜·한명숙 두 대표의 비례대표 순번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여야는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과 한명숙 대표가 비례대표 후보로 나선다면 공천 쇄신의 의미를 살리고 총선을 승리로 이끌겠다는 의지를 보이기 위해 당선이 불확실한 뒷번호를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박근혜, 19번이나 21번 가능성
새누리당 내부에서는 박 위원장이 비례 뒷 번호를 받을 경우 여성이 홀수 번호를 받는 관례상 19번이나 21번을 가져갈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새누리당은 지난 18대 총선 비례대표 선거에서 37.48%를 얻어 22석을 확보했다. 2004년 탄핵 역풍이 불었던 17대 총선에서도 35.77%를 얻어 20석을 차지했으니 이와 비슷한 수준의 의석을 얻을 경우 배수진을 치는 의미에서 아슬아슬한 끝 번호를 받지 않겠느냐는 관측이다. 일부에서는 아예 23번의 초강수를 두자는 주장도 나온다.
반대로 선거 사령탑인 박 위원장이 당의 얼굴인 비례 1번을 받아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박 위원장은 비례대표 순번에 대해 “당의 결정에 맡기겠다.”며 말을 아끼고 있다.
대선주자인 만큼 비교적 번호 선택의 폭이 자유로운 박 위원장과 달리 한명숙 대표는 당선 안정권 밖의 번호를 받아 총대를 메고 총선을 치러야 한다는 거센 압박을 받고 있다. 특히 공천 과정에서의 내홍을 잠재우기 위해서라도 한 대표가 먼저 기득권을 포기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반면 원외 대표가 국회 밖에서 당을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최소 당선 가능한 순번에 배치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다.
●한명숙, 23번 안팎… 안정권 밖으로
한 대표도 23번 안팎의 번호를 받는 데에는 부정적이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한 대표는 그동안 “우리가 승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지를 내 의지와 관계없이 선택할 것”이라고 말해 왔다.
한편 한 대표는 당 비례대표 후보 공천과 관련, 자신과 각 최고위원이 각각 1명씩 후보 추천권을 갖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현정기자 hjlee@seoul.co.kr
2012-03-14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