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정상각 발사였다면 사거리 3천∼4천㎞ 가능
북한은 23일 무수단 미사일(북한식 명칭 ‘화성-10’)의 발사에 성공했다면서 이례적으로 이 미사일의 최정점 고도와 사거리 등을 자세히 공개했다.조선중앙통신은 “탄도로케트는 예정비행궤도를 따라 최대정점 고도 1천413.6㎞까지 상승 비행해 400㎞ 전방의 예정된 목표 수역에 정확히 낙탄되었다”고 주장했다.
북한이 탄도미사일 발사 사실을 보도하면서 ‘최정점고도’까지 자세히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발사 성공에 대한 자신감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게 군사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북한의 주장대로 무수단 미사일이 1천413.6㎞ 높이까지 솟구쳤다면 사거리 3천∼4천㎞인 무수단 미사일에 어울리는 엔진 출력을 보인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판단이다.
이번에 정상 각도(45도)보다 높은 각도로 발사해 사거리가 400㎞에 그친 것일 뿐, 이 정도 출력이면 정상각도로 발사됐다면 사거리 3천㎞ 이상을 기록했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22일 이전에 실시한 4차례의 발사 실패를 통해 결함의 원인을 찾아내 보완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힘을 얻고 있다.
과거 4차례의 실패 중 3번은 공중에서 폭발했는데 이는 엔진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크다.
엔진에는 연료통으로 연결되는 여러 노즐이 있는데 이 중 하나에서 결함이 발생해 연료나 산화제가 유출돼 폭발한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제기돼 왔다.
그렇지만 무수단 미사일의 엔진이 안정적일지는 더 두고 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전날 이뤄진 두 차례의 시험발사 중 먼저 이뤄진 5차 발사 때는 150㎞를 날아가기는 했지만 역시 공중폭발한 것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만약 결함을 완전히 보완했다면 두 차례 실험이 모두 성공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 엔진 안정성과 재진입체 기술 검증 등을 위해 무수단 미사일을 추가로 발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