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슈퍼결핵 환자 3천명 육박”
대부분의 항생물질에 내성이 있는 ‘슈퍼박테리아’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는 가운데 지난해 국내에서 상당수의 치료제가 듣지 않는 ‘슈퍼결핵’으로 진료를 받은 환자가 3천명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국회 보건복지위 신상진(한나라당) 의원이 27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제출받은 ‘항생물질 내성균 감염원 진료환자’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슈퍼결핵인 ‘다제내성 결핵’과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환자는 모두 2천717명이었다.
이는 건보심사평가원이 슈퍼결핵 등에 대한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2천330명)에 비해 16.6%가 증가한 수치다.
종류별로는 다제내성 결핵이 2천494명,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이 223명이었으며 성별로는 남성이 1천760명으로 여성(957명)보다 1배가량 더 많았다.또 연령별로는 30∼40대 환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다제내성 결핵은 1∼2차 결핵 치료제 중 1차 치료제(리팜피신 등)에 내성을 보이는 결핵이며 광범위 약제내성 결핵은 2차 치료제(퀴놀론계열 의약품)에도 내성이 있는 질병이다.국내외 연구자료 등에 따르면 두 결핵의 치사율은 각각 26%,50% 정도에 이른다.
신 의원은 “1950년대 공포의 대상이었던 결핵이 새로운 형태로 국민건강을 위협하고 있다”며 “슈퍼결핵에 대한 예방적 차원의 정책 확립과 정부지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