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년 5개월 만에… 전면 불참 선언
경사노위 “전쟁 중에도 대화해야”
![한국노총, 광양서 긴급 투쟁결의대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7/SSC_20230607180758_O2.jpg)
광양 연합뉴스
![한국노총, 광양서 긴급 투쟁결의대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6/07/SSC_20230607180758.jpg)
한국노총, 광양서 긴급 투쟁결의대회
한국노총 조합원들이 7일 전남 광양에서 긴급 투쟁결의대회를 열고 ‘정권 심판’ 구호를 외치고 있다. 한국노총은 산별 노조 간부에 대한 강경 진압에 반발해 이날 대통령 직속 노사정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노동위원회 참여를 전면 중단하기로 했다.
광양 연합뉴스
광양 연합뉴스
한국노총은 이날 전남 광양에서 김동명 위원장 등 50여명의 집행부가 모인 가운데 1시간 10분가량 제100차 긴급 중앙집행위원회를 비공개로 진행했다. 회의에서는 “탈퇴해야 한다”는 취지의 발언도 나왔지만, 김 위원장이 중재안을 제시하면서 ‘참여 중단’으로 결론 났다. 김 위원장은 “경사노위는 전면 중단으로 하되 위원장이 언제라도 탈퇴를 결단할 수 있도록 위임해 달라”고 동의를 구하자 참석자들이 박수로 동의했다.
한국노총은 8일 오전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논의 결과를 공식 발표할 예정이다.
민주노총이 1999년 경사노위 전신인 노사정위를 탈퇴한 뒤 노동계를 대표해 경사노위에 참여한 한국노총마저 불참하기로 하면서 노동개혁을 추진해 온 윤석열 정부는 상당한 부담을 안게 됐다. 노사정의 한 축인 노동계가 정부에 등을 돌린 터라 정부의 설득 작업에도 관심이 쏠린다.
한국노총 이지현 대변인은 회의를 마친 뒤 “윤석열 정권 심판 투쟁에 나서기로 했다”면서 “결코 묵과할 수 없는 노동계에 대한 강력한 탄압에 맞서 전 조직적으로 책임을 묻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사노위는 “전쟁 중에도 대화는 하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면서 “산적한 노동 개혁과제 해결을 위해 대화에 다시 나서 주길 희망한다”고 했다.
2023-06-08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