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 전세난 속 도우미 역할 톡톡히

‘트위터’ 전세난 속 도우미 역할 톡톡히

입력 2011-01-31 00:00
수정 2011-01-31 00:5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 올 여름 결혼을 앞둔 직장인 정모(31)씨는 말로만 듣던 전세난을 몸소 겪었다. 신혼집을 구하러 서울 서대문 일대 중개업소를 돌아다녔지만 “연락처만 적어놓고 가라.”는 소리만 들었다. 85㎡ 이하 중소형 아파트의 씨가 마르면서 전셋집을 구경조차 할 수 없었다.

이미지 확대
#2 지난해 말부터 사당동 인근 전셋집을 찾던 대기업 과장 강모(34)씨는 최근 가까스로 물건을 구했다. 퇴근이 늦고 주말 근무가 잦아 중개업소를 방문할 시간이 부족했지만 점심 시간을 활용, 트위터의 매물정보를 꾸준히 검색했다. 강씨는 “중개업소를 찾아 전화번호를 남기고 연락 온 뒤 찾아가면 어느새 다른 사람이 계약하는 등 헛걸음만 했다.”면서 “실시간으로 매물을 선별한 뒤 중개업소 확인을 거쳐 가계약금을 입금했다.”고 전했다.

30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전세난이 심화하면서 매물 확보 과정에서의 ‘정보 격차’도 커지고 있다. 트위터 등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까지 동원된 물량 확보 경쟁 속에서 인터넷에 서툰 전세 수요자 등 새로운 정보 소외계층까지 등장하는 상황이다.

최근 대형 정보업체들이 잇따라 트위터 등에 매물정보를 개설하면서 이런 현상은 두드러지고 있다. 트위터 등은 실시간으로 정보가 공유돼 중개업소에서 올리는 매물 정보가 곧바로 수요자에게 전달된다. 최근에는 개발 호재 등 투자 정보도 공유된다. 최근 개포지구단위계획 확정 예정 소식은 개포주공 인근 중개업소들이 띄운 트위터 메시지로 온라인에 실시간으로 퍼졌다. 일부 정보업체들은 홈페이지에서 신규 입주단지를 중심으로 전세 예약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새로 입주하는 단지에선 직접 입주하기보다 전세보증금을 받아 잔금을 치르려는 집주인들이 많기 때문이다.

하지만 트위터와 같은 공간에서 정보를 얻고 계약하려면 남다른 주의가 요구된다. 고객을 끌기 위해 터무니없는 가격을 제시하는 중개업소도 있어 확인 절차가 필요하다. 허위 매물로 인한 피해도 볼 수 있다.

허윤경 건설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다음 달부터 정부의 전·월세 가격 공개 시스템이 가동되면 정보 격차는 어느 정도 해소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재룡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이런 방식의 정보 공유는 긍정적 측면이 더 강한 만큼 활발히 이뤄지는게 바람직하다.”고 평가했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1-01-31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