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7만 계좌·대출 1조 ‘태풍’
시중은행도 수수료·금리 경쟁서비스 안정화는 해결 과제로
인터넷 전문은행 2호 카카오뱅크가 27일 영업 개시 한 달을 맞았다. 단기간에 300만명이 넘는 고객을 끌어모으면서 금융권의 태풍으로 떠올랐다. 이에 시중은행은 대출 금리를 낮추거나 간편 송금 한도를 올리면서 방어에 나섰다. 카카오뱅크가 금융권에서 경쟁을 촉진시키는 ‘메기’ 역할을 톡톡히 했다는 평가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54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541.jpg)
카카오뱅크의 성공 요인으로는 ▲쉽고 빠른 가입 절차 ▲저렴한 대출 금리와 해외송금 수수료 ▲친숙함과 신선함 등이 손꼽힌다. 하지만 아직도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 대출을 받을 때 먹통 현상이 지속되고 상담 역시 지연되면서 고객들의 불만이 쌓이고 있다. 편리한 계좌 개설을 악용한 각종 범죄 우려도 제기된다.
카카오뱅크의 서비스가 안정되려면 좀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지만 은행권에 나타난 ‘카뱅 효과’는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다. 시중은행은 카카오뱅크에 맞서 고객 유지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카카오뱅크의 예·적금이나 대출 규모는 시중은행에 비하면 미미한 수준”이라면서도 “예상보다 카카오뱅크 돌풍이 거세게 나타나면서 은행권 경쟁이 치열해진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554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554.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625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08/27/SSI_20170827164625.jpg)
이는 카카오뱅크가 최저 연 2.83% 금리를 제공하는 신용대출 상품으로 공격적인 영업에 나선 데 따른 대응책으로 보인다. 현재 4대 시중은행에서 인터넷뱅킹으로 받을 수 있는 직장인 신용대출 최저금리는 신한 2.80%, 우리 2.91%, KB국민 3.02%, KEB하나 3.22% 등이다.
시중은행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간편 송금 등 서비스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신한은행은 공인인증서나 보안매체 비밀번호 없이 계좌조회, 이체 등이 가능한 ‘S뱅크 간편서비스’를 시작했다. NH농협은행은 하루 간편 송금 한도를 50만원에서 100만원으로 올렸다.
해외송금 수수료 경쟁도 치열하다. 우리은행은 연말까지 500달러 이하 해외 송금 수수료를 1만 500원에서 2500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자동화기기(ATM)를 이용해 아시아 15개국에 송금할 때 수수료를 1000원만 받는 파격적인 서비스를 출시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7-08-28 1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