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눈] 북한·중국인도 트위터를 한다면/김미경 정치부 기자

[오늘의 눈] 북한·중국인도 트위터를 한다면/김미경 정치부 기자

입력 2010-09-01 00:00
수정 2010-09-01 00: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올해 초 미국 연수 중 만난 뉴욕타임스 이란 특파원 나질라 파티는 지난해 6월 이란의 대통령선거 취재 경험을 생생하게 털어놨다. 선거를 앞두고 이란 정부는 외국 특파원들을 추방하는 등 언론 통제를 시작했고, 그도 테헤란 사무실을 정리한 뒤 귀국 길에 올라야 했다. 그러나 그는 이란 국민들이 트위터를 통해 쏟아낸 글과 사진을 통해 부정선거에 따른 시위와 진압 행위, 민심 등에 대한 실시간 취재가 가능했고 뉴욕타임스 1면을 통해 이란의 철권통치를 전 세계에 고발했다.

이미지 확대
김미경 정치부 기자
김미경 정치부 기자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지난 26일 전격적으로 방중, 지린(吉林)과 창춘(長春), 하얼빈(哈爾濱)을 방문한 뒤 돌아갔다고 30일 오후 북·중 언론이 보도했다. 그의 방중 소식이 알려졌을 때부터 30일까지 김 위원장이 왜 갔는지, 누구와 함께 갔는지, 누구를 만나 무슨 얘기를 했는지 등은 오리무중이었다. 북한은 물론 중국 언론도 철저한 정부 통제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들의 보도가 없는 상황에서 전 세계 언론은 ‘설’만 쓸 수밖에 없었다. 김 위원장 일행의 방문지로 추정되는 중국 지역 주민들의 전언이나 인터넷 글도 불확실하기는 마찬가지였다.

급변하는 21세기 정보화시대, 북한은 독재체제 아래 여전히 외부와 단절돼 있고 중국도 인터넷 통제가 날로 심해지는 등 폐쇄된 국가 이미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최근 북한의 대남기구인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트위터 계정을 만들어 체제 선전에 나서자 필립 크롤리 미 국무부 공보담당 차관보는 “환영한다.”면서도 “북한 당국이 북 주민들의 가입도 허용할 준비가 돼 있나.”라고 물었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 트위터를 차단했다. 중국 네티즌들은 가상사설망(VPN)이나 프록시(Proxy) 서버를 통해 우회 접근을 시도하지만 접속이 어렵다고 한다. 북한 주민들과 중국인들이 트위터를 통해 자유롭게 외부에 소식을 전할 날이 올 것인가. 북·중 동맹이 강화되는 분위기 속에서 개혁·개방이 가능할 것인지 김 위원장에게 묻고 싶다.

chaplin7@seoul.co.kr
2010-09-01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