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슐리매디슨 회원 중 1만5천명 공무원 추정…수백명은 업무용 PC로 접속
최근 해킹에 따른 회원정보 유출 사건으로 떠들썩한 ‘불륜 조장 사이트’ 애슐리 매디슨에 백악관, 사법기관, 국방부 등에서 일하는 미국 공직자들이 무더기로 가입한 사실이 드러났다.심지어 이들 중 수백 명은 사무실에서 업무용 컴퓨터로 애슐리 매디슨에 접속했다고 AP통신 등 외신들이 2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애슐리 매디슨을 상대로 대규모 해킹을 저지른 자칭 ‘임팩트팀’이 18일과 20일 두 차례에 걸쳐 공개한 회원 정보에는 미 정부기관이나 군에서 사용하는 이메일 계정으로 가입한 ‘공무원 추정’ 회원이 1만5천여 명이다.
이 중에는 미국 연방 검사보 2명, 대통령실 정보기술 관리자, 법무부 국장·수사관·변호사, 국토안보부 소속 해커와 대테러 대응팀원 등의 명단이 포함돼 있다.
AP통신이 이 사이트 접속 기록을 살펴본 결과 국무부·국방부·법무부·에너지부·재무부·교통부·국토안보부 등의 정부 부처 공무원 최소 20명 이상이 자신의 사무실 컴퓨터로 애슐리 매디슨을 이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정부 공용 이메일 계정이 아닌 일반 이메일 계정을 사용하고 선불 신용카드로 결제하는 등 신원을 숨기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에도 업무용 컴퓨터로 사이트에 접속하는 바람에 꼬리가 밟혔다.
회원 정보를 유출당한 한 국무부 조사관은 익명을 전제로 “하지 말았어야 할 행동을 했다”며 “이 사실로 협박당한다면 바로 내 행동을 가족과 직장에 알릴 것”이라고 말했다.
심지어 일반 행정부처 외에 국방부 본부(펜타곤)을 비롯한 국방부 인터넷망에서도 애슐리 매디슨에 접속한 수백 건의 흔적이 발견됐다.
애슈턴 카터 미 국방장관은 “국방부 메일 계정을 사용한 명단을 검토하고 있다”며 “통일 군사 재판법에 따라 간통은 범죄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국토안보부에 따르면 미국 공직자는 업무용 컴퓨터를 공적 용도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정부 컴퓨터로 음란하고 성적·인종적 문제가 있는 부적절한 사이트에 접속해서는 안 된다.
이 밖에 오하이오·노스캐롤라이나·사우스캐롤라이나·텍사스 등지의 여러 시 당국들도 시 공무원용 이메일 주소로 가입한 회원들이 있는 것을 확인하고 조사 중이라고 USA투데이는 보도했다.
이 사건에 연루된 공직자 대다수와 백악관 대변인은 AP통신의 인터뷰 요청을 거절하거나 무시했다.
공직자뿐만 아니라 유명인사들의 애슐리 매디슨 접속 사실도 드러나 파문이 커지고 있다.
가족의 가치를 설파한 미국의 TV 방송인 조시 더거는 애슐리 매디슨을 이용한 사실이 드러나자 “가장 위선적인 행동을 했다”며 “나의 아내와 가족에게 용서를 구한다”고 고백했다.
애슐리 매디슨은 ‘인생은 짧습니다. 바람피우세요’(Life is short. Have an affair)라는 문구와 함께 기혼자의 회원가입도 받고 있어 대표적인 불륜 조장 사이트로 꼽힌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