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대부분이 애플 차지라는 분석이 나왔다.
크레디트스위스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84%를 애플이, 16%를 삼성전자가 각각 차지하고 있다고 미국 IT 전문 매체 밸류워크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처음 아이폰이 등장하던 2007년까지만 하더라도 애플과 삼성의 영업이익은 전체의 15% 수준에 불과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꾸준히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전체 스마트폰 매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애플이었다.
애플의 매출액은 전체의 36%, 삼성전자는 27%, 중국 화웨이가 5%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LG 전자의 매출은 전체의 4%, 샤오미는 3% 수준이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판매량 부문에서는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체의 20%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애플이 11%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가 6%, 화웨이가 5%, 샤오미, 레노보, LG전자가 각 4%를 차지했다.
특히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의 IT 기기업체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샤오미가 곧 경쟁자들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크레디트스위스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스마트폰 영업이익의 84%를 애플이, 16%를 삼성전자가 각각 차지하고 있다고 미국 IT 전문 매체 밸류워크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처음 아이폰이 등장하던 2007년까지만 하더라도 애플과 삼성의 영업이익은 전체의 15% 수준에 불과했지만 최근 몇 년 사이 꾸준히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전체 스마트폰 매출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도 애플이었다.
애플의 매출액은 전체의 36%, 삼성전자는 27%, 중국 화웨이가 5%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LG 전자의 매출은 전체의 4%, 샤오미는 3% 수준이었다.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판매량 부문에서는 앞서는 모습을 보였다.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량은 전체의 20%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애플이 11%로 그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가 6%, 화웨이가 5%, 샤오미, 레노보, LG전자가 각 4%를 차지했다.
특히 화웨이, 샤오미 등 중국의 IT 기기업체들의 약진이 두드러졌다.
크레디트스위스는 샤오미가 곧 경쟁자들을 위협하는 세력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