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비선 재벌실세’ 의혹 폭로한 ‘여걸’ 마돈셀라

남아공 ‘비선 재벌실세’ 의혹 폭로한 ‘여걸’ 마돈셀라

입력 2016-11-04 22:17
수정 2016-11-04 22:17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주마 대통령 부패·유착 의혹 보고서 공개로 주목받아

제이컵 주마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의 ‘비선 재벌 실세’ 의혹으로 대통령 하야 요구 시위가 거세지는 가운데 이 의혹을 폭로한 툴리 마돈셀라(54) 전 국민권익보호원장에게 관심이 쏠린다.

마돈셀라는 남아공 정치계와 시민사회단체에서 명성이 높고 주마 대통령에게도 쓴소리를 마다치 않아 현지에서 ‘여걸’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마돈셀라는 2009년 권익보호원장에 취임해 7년 임기를 마친 후 발표된 권익보호원의 ‘포로가 된 국가’(State of Capture)로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이 보고서는 최근 주마 대통령의 하야 요구 운동을 확산시키며 남아공 정국을 뒤흔들고 있다.

이 보고서에는 주마 대통령과 인도계 유력 재벌 굽타 가문과의 정경 유착 정황이 적나라하게 기록돼 있다.

굽타 가문은 주마 대통령의 친밀한 관계를 악용해 일부 장관을 포함해 국영기업 이사진 등의 인사에 개입해 이권을 챙겼다는 게 이 보고서의 주 내용이다.

지난 2일 공개된 355쪽 분량의 이 보고서는 마돈셀라가 지난달 14일 퇴임하기 단 며칠 전 완성됐다.

후임에는 주마 대통령 측의 보고서 공개 중단 시도에 반대하지 않았던 부시시웨 음크웨바네가 임명됐다. 이 보고서는 주마 대통령 측이 남아공 항소법원에 보고서 공개 연기를 신청했다가 악화한 여론 탓에 이를 철회하면서 지난 2일 공개됐다.

마돈셀라는 보고서가 발표된 후 자신의 임명권자였던 주마 대통령을 대놓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주마에 대해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했어야 했다”며 “대통령은 나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예정된 만남에 나타나지 않는 등 자신이 한 말을 지키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주마는 법적으로 나의 지시를 준수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시민운동가 출신의 마돈셀라는 주마 대통령의 고향 콰줄루나탈주(州) 은칸들라 호화 사저 건설 의혹을 밝혀내 주마 대통령이 지난 9월 자산 일부를 국고에 환수하도록 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도 했다.

남아공 언론에 따르면 주마 대통령은 2014년 사저 개보수에 국고 2억1천600만 상당의 남아공 랜드(약 166억원)를 쏟아 부었고 일부 시설은 보안과는 전혀 무관했다.

이에 국민권익보호원은 주마 대통령이 사저를 보수하는 과정에서 비윤리적 행위를 했다며 보안 조치와 무관한 비용은 물어내야 한다고 촉구했고 남아공 헌법재판소도 국고 일부 반환 판결을 내렸다.

마돈셀라는 2011년엔 남아공의 공공사업부 장관과 지방·전통문제담당 장관은 물론 경찰청장의 부패 스캔들을 조사해 비위 사실을 밝혀내 이들 두 명의 장관이 해임됐고 경찰청장도 옷을 벗었다.

1962년 요하네스버그에서 태어난 마돈셀라는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한 뒤 1980년대 노조를 위해 일했다. 아프리카민족회의(ANC)에 가입해 인종 분리정책인 아파르트헤이트에 반대하는 운동에 참가했다.

케이프타운대학에서 법학 박사 학위를 딴 그는 1994년 아파르트헤이트 이후 남아공의 신헌법 초안 작성에도 참여했다.

2007년 남아공 사법개혁위원회 상임위원을 지낸 그는 2년 뒤 주마 대통령에 의해 국민권익보호원장으로 임명됐다.

2011년에는 수도 프리토리아에서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과 만나 양 기관 간 교류 협력 방안을 논의한 적도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