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든 2050 탄소중립 행정명령 서명
2030년까지 친환경 생산 전기만 사용
환경단체 “2050년은 극도로 약한 목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003332_O2.jpg)
AFP 연합뉴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003332.jpg)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미국 최대 고용주이자 가장 넓은 땅을 소유하고 가장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연방정부가 탄소중립을 추진함으로써 민간 부문 투자를 촉진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겠다는 계획이다.
백악관은 8일(현지시간)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행정명령은 정부 조달력을 이용해 기후위기를 타개하는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003350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2/10/SSI_20211210003350.jpg)
바이든 대통령은 취임 직후부터 기후위기 대응을 중요한 집권 과제로 제시해 왔다. 2030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2005년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지난 10월 말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도 각국의 탄소중립 목표 강화를 강력히 촉구한 바 있다.
환경단체들은 대체적으로 이번 발표를 환영했지만 일부는 탄소중립 목표 시한을 2050년으로 못박은 것은 아쉽다고 밝혔다. 생물다양성센터의 빌 스네이프 변호사는 AP통신과의 인터뷰에서 “2050년은 기후위기 위협을 잠재우기엔 극도로 약한 목표”라며 “마치 30년 안에 방을 청소하겠다고 약속하는 10대 같다. 우리는 지금 당장 행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1-12-10 1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