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오포·비보의 추격전… 화웨이 제쳤다

中오포·비보의 추격전… 화웨이 제쳤다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16-10-28 18:14
수정 2016-10-28 18:2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1년새 2배 껑충…삼성·애플·화웨이 ‘3강 구도’ 지각변동

중국의 신흥 스마트폰 기업들이 삼성전자와 애플, 화웨이의 ‘3강 구도’를 흔들고 있다. 28일 시장조사기관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올해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중국의 오포(Oppo)와 비보(Vivo)가 각각 5.8%, 4.9%의 시장 점유율을 기록해 화웨이(9.0%)의 뒤를 바짝 쫓고 있다. 오포와 비보가 중국 정보기술(IT)·유통 전문기업 BBK그룹(步步高·부부가오)의 자회사로 ‘형제 회사’임을 감안하면 이 두 업체는 화웨이를 제치고 사실상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3위 기업이 된 셈이다.

이미지 확대
최근 2~3년까지만 해도 화웨이와 샤오미, 레노버 등이 중국 시장에서 약진했지만 올해 들어서 오포와 비보가 강세를 보이기 시작했다. SA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오포와 비보의 점유율은 각각 2.5%, 2.8%에 머물렀지만 불과 1년 만에 점유율이 두 배로 뛰었다.

두 회사의 약진은 중국 내수 시장에서 두드러진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올해 3분기 중국 스마트폰 시장에서 오포와 비보는 각각 점유율 16.6%, 16.2%로 나란히 1, 2위를 차지했다. 반면 1, 2분기 연속 1위를 지켰던 화웨이는 15.0%로 3위로 밀려났다.

오포와 비보는 BBK그룹이 중저가 스마트폰과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을 겨냥해 설립한 업체다. 두 회사는 삼성전자와 애플 등을 벤치마킹한 기존 중국 업체와 달리 자체 기술력으로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며 주목받았다. BBK그룹은 과거 MP3 등 오디오와 비디오 기기를 제조하던 회사로, 오포와 비보의 스마트폰은 모회사의 음향 노하우를 이어받아 높은 사운드 성능을 갖춘 것으로 평가받는다. 또 세계 최초로 500만 화소 전면 카메라를 탑재한 ‘유라이크2’와 세계에서 가장 얇은 ‘R5’(이상 오포), 세계 최초 6기가바이트(GB) 램을 탑재한 ‘엑스플레이5’ 등 ‘세계 최초’ 스마트폰을 잇따라 선보였다.

SA에 따르면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점유율은 23.7%에서 20.1%, 애플은 13.6%에서 12.1%로 떨어졌다.

김소라 기자 sora@seoul.co.kr
2016-10-29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