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 사무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 집회 행진에 참석한 시민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투표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찢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3/SSC_20241213135728_O2.jpg.webp)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 사무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 집회 행진에 참석한 시민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투표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찢고 있다.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13/SSC_20241213135728_O2.jpg.webp)
12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국민의힘 당 사무실 앞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촛불 집회 행진에 참석한 시민들이 윤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투표에 불참한 국민의힘 의원들을 규탄하는 현수막을 찢고 있다. 연합뉴스
영화인들이 ‘12·3 비상계엄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을 탄핵하라고 13일 재차 촉구했다. 특히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을 주장한 국민의 힘에 대해 “내란 동조를 중단하고 윤석열을 즉각 탄핵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영화감독조합(DGK) 등 영화단체와 영화인들은 이날 배포한 긴급성명에서 “국민의힘 국회의원들은 이제라도 본연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며 “내란 동조를 중단하고 윤석열을 즉각 탄핵하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망상적인 윤석열의 비상계엄 선포로 시작된 이 혼란에서 우리는 탄핵 혹은 즉각 퇴진 이외의 결말을 상상할 수 없다”며 “헌법을 위배한 대통령은 헌법이 명시한 방법으로 단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국민의 힘이 주장한 ‘조기 퇴진’에 대해 “국민은 한덕수나 한동훈, 국민의힘에 대통령의 권력을 위임한 적이 없다. 탄핵소추안 표결 불참의 명분으로 내세운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은 권력을 사유화하려는 제2차 내란”이라고 규정했다.
영화계가 윤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한 것은 지난 5일에 이어 두 번째다. 당시 77개 단체와 2500여 명의 영화인이 연명에 참여했다. 이번에는 80개 단체, 6300여명으로 늘었다. 연명 명단에는 영화감독 김성수, 이준익, 장항준, 이명세, 허진호, 김성훈 등이 새롭게 이름을 올렸다. 지난 성명에서는 봉준호, 정지영, 변영주, 장준환 등이 참여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