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한인 강제이주 추적 시대 아픔·부조리 천착

러 한인 강제이주 추적 시대 아픔·부조리 천착

입력 2012-10-27 00:00
수정 2012-10-27 00:4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철훈 4번째 장편 ‘모든… ’

“나는 모스크바의 낯선 곳에서나마 멀쩡히 숨을 쉬고 있고, 세월의 저편에서는 김씨의 세 살 난 딸 올가가 강제이주 열차에 실려 화물칸의 차디찬 마루짝에서 마지막 숨을 몰아쉬고 있다. 아랄해 구역을 갔다는 아들이 살아 있다면 지금쯤 팔순에 이르렀을 것이고 편지를 쓴 김이라는 사람은 이미 고인이 되었을 것이다.”(30쪽)

러시아 외무성 외교아카데미에서 박사과정을 밟은 정철훈(53) 작가가 네 번째 장편소설 ‘모든 복은 소년에게’(문학동네 펴냄)를 펴냈다. 이번 글도 전쟁의 상처와 이산, 러시아혁명 등을 다룬 전작 장편소설인 ‘인간의 악보’, ‘카인의 정원’, ‘김알렉산드라’처럼 리얼리즘의 잣대 위에서 시대의 부조리와 아픔에 천착했다.

‘유즈나야 카레야’(남한) 출신 유학생인 주인공은 1930년대 재소 한인 강제이주에 대한 연구논문을 쓰면서 러시아 정부의 비밀해제 문서 속에서 ‘카레이스키’(고려인) 김 게르만의 청원서를 발견한다.

김씨의 세 살 난 딸아이는 이주 도중 목숨을 잃었고, 일곱 살짜리 아들은 다른 열차로 옮겨져 홀로 아랄해 지역으로 보내졌다.

굶주림에 떨며 집단농장에서 착취당하던 김씨는 아들을 찾기 위해 지방 정부에 단돈 500루블(1만 7570원)의 이주비를 청원한다. 이때부터 주인공은 소년의 여생에 강박증적 의문을 갖고 긴 여정을 떠나게 된다.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다. 독일 작가 W G 제발트의 장편 ‘아우스터리츠’처럼 빛바랜 역사의 심층을 오늘의 시간 위에 불쑥 올려놓았다.

오상도기자 sdoh@seoul.co.kr

2012-10-27 2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