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지지율 4%…역대 대통령 중에서도 최저치(종합)

朴대통령 지지율 4%…역대 대통령 중에서도 최저치(종합)

장은석 기자
입력 2016-11-25 14:18
수정 2016-11-25 14:1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는 도중 고개숙여 사과를 하고 있다. 2016. 11. 04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4일 박근혜 대통령이 청와대 브리핑룸에서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는 도중 고개숙여 사과를 하고 있다. 2016. 11. 04 안주영 기자 jya@seoul.co.kr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지지도가 4%까지 떨어졌다.

박 대통령 취임 이후 최저치다.

여론조사전문기관인 한국갤럽은 25일 대통령 국정 지지도가 4%로 떨어졌고, 이는 대통령 지지도 조사를 시행한 이래 역대 대통령 중 가장 낮은 수치라고 밝혔다.

새누리당 지지도 또한 창당 후 최저치(12%)를 경신하며 국민의당에도 뒤처져 3위로 추락한 반면, 더불어민주당 지지도는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최고치(34%)를 기록했다.

갤럽이 지난 22~24일 남녀 유권자 1004명을 상대로 실시한 여론조사(신뢰수준 95%±3.1%p)에 따르면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에 대해 응답자의 4%만 긍정 평가했고, 93%는 부정적으로 평가했으며, 4%는 의견을 유보했다.

세대별 지지율을 보면 청년층에선 20대와 30대 모두 0%로 나타났고, 중·장년층 또한 40대 4%, 50대 6%, 60대 이상이 9%였다.

지역별로는 여권의 ‘전통적 텃밭’으로 꼽히는 대구·경북(TK)에서 전주보다 2%포인트 떨어진 3%에 그쳤으며, △서울 4% △인천·경기 2% △광주 1% △충청 7% △부산·울산·경남 5% 등으로 조사됐다.

박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한 부정적 평가 요인으로는 △‘최순실, 미르·K스포츠재단’(45%) △‘전반적으로 부족하다’(7%) △‘국정 운영이 원활하지 않다’(7%) △‘정직하지 않다’(7%) △‘소통 미흡’(5%) △‘리더십 부족/책임 회피’(5%) △‘대통령 자격 상실’(4%) △‘부정부패’(3%) △‘독선/독단적’(3%) 등이 지적됐다.

갤럽 조사에 박 대통령의 지지도는 지난주까지 3주째 역대 최저치인 5%를 유지해왔으나 이번 주 1% 포인트가 더 떨어졌다.

지난 1988년 갤럽이 대통령 직무 평가 여론조사를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3년 취임 초기 인사 난맥 등을 겪으며 40% 선에 머물다가 5월 초 처음으로 50%를 넘어섰고, 그해 9월 둘째 주 67%로 최고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는 4월 총선 이후 약 6개월간 29~34% 범위를 오르내리다가 9월 추석 즈음부터 점진적으로 하락했고 10월 최순실 국정 개입 의혹이 증폭되면서 4주 연속 직무 긍정률 최저치를 경신, 11월 들어서는 평균 5%에 머물렀다.

과거 대통령의 주간 지지도 조사 최저치는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집권 말기에 기록했던 6%였다고 갤럽은 설명했다.

박 대통령에 대한 국정 지지도와 함께 새누리당 지지도도 최저치를 찍었다. 민주당의 절반 수준에도 못 미쳤고, 국민의당 보다도 4%포인트 가량 낮았다.

정당별 지지도를 보면 민주당 34%, 국민의당 16%, 새누리당 12%, 정의당 7%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지지도는 전주보다 3%포인트 하락한 반면 비교섭단체인 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야 3당은 각각 3%, 2%, 1% 포인트씩 올랐다.

또 최근 새누리당의 지지도 하락폭은 핵심 지지기반인 ‘대구·경북’ 지역(2월 62%→11월 27%)과 ‘60대 이상’ 연령대(2월 65%→11월 31%)에서 가장 컸다.

이번 조사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공정심의위원회 인터넷 홈페이지(nesdc.go.kr)를 참조하면 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