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이 입양한 유기견 ‘토리’, 청와대 입주

文대통령이 입양한 유기견 ‘토리’, 청와대 입주

입력 2017-07-26 19:12
수정 2017-07-26 19:4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文대통령 “사람과 반려동물이 공존하는 사회 돼야”

문재인 대통령이 대선 선거운동 당시 당선되면 입양하겠다고 약속했던 유기견 ‘토리’가 26일 청와대에 새집을 찾아 들어갔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관저앞 인수문에서 동물권단체 ‘케어’ 로 부터  검정색 털의 유기견 ‘토리’를 건네 받았다. 4살이 된 ‘토리’는 남양주 폐가에서 구출돼 2년 동안 새주인을 기다리던 유기견으로 청와대 첫 유기견 출신 ‘퍼스트 도그’가 된 것이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청와대 관저앞 인수문에서 동물권단체 ‘케어’ 로 부터 검정색 털의 유기견 ‘토리’를 건네 받았다. 4살이 된 ‘토리’는 남양주 폐가에서 구출돼 2년 동안 새주인을 기다리던 유기견으로 청와대 첫 유기견 출신 ‘퍼스트 도그’가 된 것이다.
청와대 제공
청와대는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문 대통령이 이날 관저 앞에서 동물권단체 ‘케어’의 박소연 대표 등을 만나 검은색 털의 유기견 ‘토리’를 건네받았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일반적 동물 입양절차를 따라 입양 확인서에 서명하고 진료기록과 성격, 동물 신분증명서와 같은 마이크로 칩 등 토리에 관한 구체적 내용을 박 대표로부터 설명받았다.

‘케어’로부터 토리가 그려진 티셔츠와 액자, 사료, 간식 등을 전달받은 문 대통령은 ‘케어’ 측에 입양 명예 회원비를 건넸다.

4살인 토리는 새 주인을 기다리던 유기견이다. 유기견이 청와대의 ‘퍼스트 도그’가 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청와대는 설명했다.

토리는 2015년 10월 경기도 남양주의 한 폐가에서 동물보호 활동가들에게 발견됐다. 발견 당시 토리는 60㎝ 길이의 목줄에 묶인 채 움직이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고 한다.

토리는 구출된 후로도 사람들이 선호하는 외견이 아닌 탓에 입양이 늦어지다가 지난 5월 초 대선 유세 과정에서 동물보호단체를 방문한 문 대통령의 눈에 띄었다.

문 대통령은 당시 “토리는 온몸이 검은 털로 덮인 소위 못생긴 개다. 편견과 차별에서 자유로울 권리는 인간과 동물 모두에게 있다는 철학과 소신에서 토리를 퍼스트 도그(First Dog)로 입양하겠다”고 약속했다.

문 대통령이 입양을 결심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토리는 많은 사람의 관심을 받았으며, ‘문토리’라는 별명이 붙었다.

이날 토리를 입양한 문 대통령은 “이제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1천만 명을 넘어선 만큼 사람과 반려동물이 공존하며 함께 행복할 수 있는 사회가 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해마다 100만 마리 정도가 새 주인을 찾아가는데 그중 30만 마리가 버려지는 게 현실”이라면서 “이제는 유기동물도 사회 전체가 돌봐주고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입양절차를 밟느라 대선이 끝난 지 두 달이 넘어서야 청와대에 온 토리는 문 대통령이 경남 양산 자택에서 데려온 풍산개 ‘마루’, 고양이 ‘찡찡이’와 한 식구가 됐다.

한편, 청와대는 문 대통령의 토리 입양 사실을 공식 페이스북을 통해 알리고 문 대통령이 토리를 안아 든 사진도 함께 공개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