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대통령 전날 DMZ 동행 제안
헬기 이동 중 인근 부대에 착륙가시거리 25m에도 육로 이동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22202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222022.jpg)
문 대통령과 트럼프 대통령의 DMZ 깜짝 방문 시도는 ‘피’로 맺어진 굳건한 한·미 동맹을 북한에 과시하고 더이상 핵·미사일 도발을 하지 말라는 무언의 경고로 해석된다. 중국발 미세먼지와 안개 등 날씨가 발목을 잡아 막판에 아쉽게 무산되긴 했지만 양국 정상이 뜻을 모아 DMZ를 방문하려 한 사실만으로도 북한은 심리적 압박을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과의 DMZ 동반 방문이 무산된 데 큰 실망감을 나타낸 것으로 전해졌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동행한 기자들과 만나 “트럼프 대통령이 매우 낙담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AP통신과 CNN방송 등 외신들이 보도했다.
DMZ 방문은 전날 정상회담에서 문 대통령이 제안했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다른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DMZ를 방문하는 게 어떻겠는가”라고 물었고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그렇지 않아도 DMZ를 가면 좋겠다는 얘기가 있어 고민 중이었다”고 반색했다. 그러자 문 대통령이 “가신다면 나도 동행하겠다”고 밝혀 급하게 일정이 잡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7시 헬기를 타고 일찌감치 청와대를 출발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오전 7시쯤 숙소인 그랜드 하얏트 서울 호텔을 출발해 용산 미군기지에서 전용헬기 ‘마린원’을 타고 DMZ로 향했다. 양국 정상은 군사분계선(MDL)에서 불과 25m 떨어진 오울렛 초소를 방문할 예정이었다. 빌 클린턴(1993년), 조지 W 부시(2002년), 버락 오바마(2012년) 등 직전 3명의 미국 대통령이 방문했던 곳이다.
![로널드 레이건(1983년 11월14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051_O2.jpg)
![로널드 레이건(1983년 11월14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051.jpg)
로널드 레이건(1983년 11월14일)
![빌 클린턴(1993년 7월11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104_O2.jpg)
![빌 클린턴(1993년 7월11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104.jpg)
빌 클린턴(1993년 7월11일)
![버락 오바마(2012년 3월25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119_O2.jpg)
![버락 오바마(2012년 3월25일)](https://img.seoul.co.kr//img/upload/2017/11/08/SSI_20171108175119.jpg)
버락 오바마(2012년 3월25일)
회항 소식을 전해 들은 문 대통령 일행은 임진각이 보이는 도로변에 차를 세우고 ‘노상(路上) 회의’를 한 끝에 차를 돌리지 말고 일단 DMZ까진 가 보자고 결론 내렸다. 청와대 관계자는 “DMZ에서 안개가 걷히길 기다리는데 가시거리가 25m도 되지 않더라”고 전했다.
한편 용산 기지로 돌아온 트럼프 대통령은 DMZ 방문을 단념하지 않고 방탄차량에서 10분 단위로 문 대통령과 연락하며 날씨가 좋아지기를 기다리다 오전 11시로 예정된 국회 연설 일정 때문에 9시쯤 결국 숙소로 돌아갔다. 문 대통령도 DMZ에서 30분간 대기하다 연락을 받고 같은 시간에 철수했다. 박수현 청와대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의 의지는 빈틈없는 한·미 동맹과 평화수호에 대한 강력한 메시지를 전하는 데 부족함이 없었다”고 평가했다.
최북단 지역을 방문한다는 이유로 양국 정상의 DMZ 방문 시도는 철통 보안 속에 이뤄졌다. 한·미 양국 언론도 당일 오전에야 정상들의 DMZ 행을 전달받았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7-11-09 2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