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먹는 하마 아냐…12~13년에 걸쳐 함 건조”
“건조비 2조원 대부분 국내 산업에 재투자”![경항모 조감도. 현대중공업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1/SSI_20210421171325_O2.jpg)
![경항모 조감도. 현대중공업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4/21/SSI_20210421171325.jpg)
경항모 조감도. 현대중공업 제공
해군은 21일 국방부 출입 기자단을 상대로 설명회를 갖고 경항모 사업의 추진 경과와 내용을 소개했다.
해군은 “방위사업청의 사업추진기본전략 수립, 기획재정부의 사업타당성조사 등 사전 준비과정을 거쳐 사업이 착수되면 12~13년간 설계 및 함 건조 단계를 거치게 된다”며 2033년쯤 경항모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밝혔다.
그러면서 “경항모는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전시 조기 전쟁 승리를 견인할 것”이라며 “평시에는 해양주권을 수호하고 국가이익을 보호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北 공격으로 활주로 파괴돼도 대응 가능“경항모가 지휘하는 항모전단의 역할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해군 관계자는 “전시 대지타격유도탄과 수직이착륙기를 써서 핵과 대량살상무기(WMD)를 타격하고, 평양 서쪽을 후면 공격하면 전방에 집결한 북한군을 분산할 수 있다”면서 “항모전단으로 조기에 해양 우세를 확보하고 공세로 신속히 전환해 빨리 전쟁을 끝내는 게 목표”라고 말했다.
해군은 또 “경항모는 북한의 탄도탄 공격으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하다”며 북한의 탄도탄 공격 등으로 공군 활주로가 파괴되면 경항모에 탑재된 함재기를 출격해 대응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해군이 경항공모함 화상 세미나에서 처음 공개한 경항모 전투단 항진도. 해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22/SSI_20210222170656_O2.jpg)
![해군이 경항공모함 화상 세미나에서 처음 공개한 경항모 전투단 항진도. 해군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2/22/SSI_20210222170656.jpg)
해군이 경항공모함 화상 세미나에서 처음 공개한 경항모 전투단 항진도. 해군 제공
●”해군력 열세…배수량 中 17%, 日 39% 불과“해군은 중국, 일본 등 주변국과 비교해 해군력이 열세이기 때문에 경항모가 꼭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운용 중인 1000t급 이상 잠수함, 전투함을 기준으로 봤을 때 전체 합산 배수량이 중국의 17%, 일본의 39% 수준에 불과하며 이런 격차는 더 벌어지는 추세라고 진단했다.
‘경항모 엔진으로 원자력 추진 방식도 검토하나’라는 질문에는 “‘타임 프레임’(시간표)이나 정부 정책 등을 고려해 재래식 추진으로 결정했다”고 답했다. 재래식 추진 체계에는 증기터빈, 가스터빈, 디젤엔진 등이 있으며 생성된 동력의 전달 방식에 따라 기계식, 복합식(하이브리드), 전기식으로 구분된다. 이 중 어떤 방식으로 할지는 “기본설계를 하면서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이 관계자는 덧붙였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