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한국대통령 첫 ‘아웅산 추모비’ 헌화

文, 한국대통령 첫 ‘아웅산 추모비’ 헌화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9-09-05 01:28
수정 2019-09-05 02:1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전두환 국빈 방문 때 北 테러로 17명 순직…靑 “추모비는 한-미얀마 신뢰·우의 상징”

양곤주 산단 기공식·비즈니스 포럼 참석
文 “같은 배를 타면 같은 곳으로 간다
산단이 미얀마 경제기적의 디딤돌 기대”
이미지 확대
미얀마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양곤 아웅산 순국사절 추모비를 찾아 분향·헌화하고 있다. 추모비는 1983년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미얀마 국빈 방문 시 북한의 폭탄 테러로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순직한 17명의 외교사절과 수행원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건립됐다. 양곤 도준석 기자 pada@seoul.co.kr
미얀마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4일 양곤 아웅산 순국사절 추모비를 찾아 분향·헌화하고 있다. 추모비는 1983년 당시 전두환 대통령의 미얀마 국빈 방문 시 북한의 폭탄 테러로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순직한 17명의 외교사절과 수행원들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건립됐다.
양곤 도준석 기자 pada@seoul.co.kr
미얀마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4일 옛 수도 양곤의 아웅산 순교자 묘역에 건립된 대한민국 순국사절 추모비를 참배했다.

추모비는 1983년 전두환 대통령의 국빈 방문 시 북한 폭탄 테러로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순직한 17명의 외교사절 및 언론인의 희생을 기리기 위해 2014년 건립됐다. 우리 대통령이 추모비를 찾은 것은 처음으로, 이 추모비는 미얀마 건국 이래 최초로 건립된 외국인 추모시설이다. 미얀마는 당시 사건으로 북한과 단교를 선언한 뒤 2007년에야 외교 관계를 회복했다. 추모비가 설립된 곳은 미얀마의 독립영웅 아웅산 장군 유해가 안장된 순교자 묘역과 미얀마의 정신적 상징인 쉐다곤 파고다(탑)가 인접한 국가적 성지다. 높이 1.6m, 길이 9m의 추모비 벽에는 순국사절 17명의 이름과 직책이 새겨져 있고, 한쪽으로 당시 테러 현장을 바라볼 수 있도록 틈이 있어 추모 의미를 더한다. 외국인 추모시설 건립에 반대하는 여론도 있었지만, 2012년 당시 테인 세인 대통령 방한을 계기로 미얀마 측이 협조 의사를 밝혀 와 건립이 성사됐다. 문 대통령 내외는 순교자 묘역에 헌화한 후 추모비로 이동해 헌화·참배하고 추모비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문 대통령은 엄숙한 표정으로 추모비의 틈 앞에서 유심히 살펴보기도 했다.

이날 앞서 문 대통령은 경제협력 산업단지 기공식 및 비즈니스 포럼에 참석해 “한국이 경제성장으로 ‘한강의 기적’을 만든 것처럼, 한·미얀마 경협 산단이 미얀마의 젖줄 ‘에야와디강의 기적’을 만드는 디딤돌이 되길 희망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같은 배를 타면 같은 곳으로 간다’는 미얀마 속담처럼 이 자리가 양국 경제인들의 우정을 다지고 평화·번영을 위해 같은 배를 타는 자리가 되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총 1300억원을 들여 양곤주 야웅니핀에 225만㎡ 규모로 건설 중인 경협 산단은 2024년 완공 예정이다. 미얀마 정부가 토지 출자, 우리 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LH), 글로벌 세아가 공동 출자하고 우리 정부는 대외경제협력기금(EDCF)을 투입해 인프라 설치를 지원, 우리 기업들에 기회를 제공하는 의미가 있다.

양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9-09-05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