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인 불법사찰로 파문을 일으킨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이 지난해부터 ‘디가우저’(하드디스크 영구파괴 장비)로 수십만건의 사찰 문건을 삭제했으며,검찰이 수사과정에서 디가우저의 존재를 알고도 묵인.은폐했다는 주장이 8일 제기됐다.
그러나 총리실측은 “디가우저는 사용연수가 4년 이상이 경과한 PC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2008년 7월에 구입한 지원관실의 PC는 전혀 파기 대상이 아니다”고 전면 반박했다.
국회 정무위 우제창(민주당) 의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총리실이 2006년 5월25일 1천672만원에 디가우저를 구입했으나 지원관실의 사찰업무가 본격화된 2009년부터 본격 사용했다”며 지원관실이 민간인을 불법사찰하면서 관련 내용들을 지워나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우 의원이 이날 공개한 ‘디가우저 사용일지’(하드디스크 불용처리 관리대장)에 따르면 2009년 7월8일 23건,같은 해 8월5일 10건,그리고 지난 8월11일 21건 등의 삭제기록이 명시돼 있으며 총 삭제용량은 4천894.9기가바이트(GB)이다.
자료에는 지난해 8월5일과 올해 8월11일 사이의 삭제번호 34∼47번에 해당하는 14건의 파일에 대해서는 구체적 삭제기록이 ‘공란’으로 돼 있다.
우 의원은 “삭제된 파일은 최소 수십만건으로 추정된다”며 “지원관실이 검찰의 압수수색이 임박한 지난 7월께 급박하게 디가우저를 사용한 뒤 관리대장 기록을 고의로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디가우저는 총리실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행정안전부,국방부 등 민감한 업무를 처리하는 부서들에 설치돼있다”며 “이는 국정원의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에 의해 노후 PC에 저장된 업무자료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디가우저가 있는 방에는 CC(폐쇄회로)TV도 설치돼 있고 사용일자와 제조사,용량,통신방식 등을 기록해 관리한다”며 “2008년 1월 이전 사용 대장은 당시 정부청사 화재로 없어졌을 뿐 공직윤리지원관실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2008년 이후 총 120개의 하드디스크를 폐기했으며 검찰에서 사용 대장과 기계까지 다 가져가 조사했다”며 “사용대장에 14건의 파일 삭제 기록이 공란으로 돼 있는 것은 삭제는 하되 복원이 가능한 이레이저를 사용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그러나 총리실측은 “디가우저는 사용연수가 4년 이상이 경과한 PC를 대상으로 하는 만큼 2008년 7월에 구입한 지원관실의 PC는 전혀 파기 대상이 아니다”고 전면 반박했다.
국회 정무위 우제창(민주당) 의원은 이날 브리핑에서 “총리실이 2006년 5월25일 1천672만원에 디가우저를 구입했으나 지원관실의 사찰업무가 본격화된 2009년부터 본격 사용했다”며 지원관실이 민간인을 불법사찰하면서 관련 내용들을 지워나갔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우 의원이 이날 공개한 ‘디가우저 사용일지’(하드디스크 불용처리 관리대장)에 따르면 2009년 7월8일 23건,같은 해 8월5일 10건,그리고 지난 8월11일 21건 등의 삭제기록이 명시돼 있으며 총 삭제용량은 4천894.9기가바이트(GB)이다.
자료에는 지난해 8월5일과 올해 8월11일 사이의 삭제번호 34∼47번에 해당하는 14건의 파일에 대해서는 구체적 삭제기록이 ‘공란’으로 돼 있다.
우 의원은 “삭제된 파일은 최소 수십만건으로 추정된다”며 “지원관실이 검찰의 압수수색이 임박한 지난 7월께 급박하게 디가우저를 사용한 뒤 관리대장 기록을 고의로 삭제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총리실 고위 관계자는 “디가우저는 총리실만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행정안전부,국방부 등 민감한 업무를 처리하는 부서들에 설치돼있다”며 “이는 국정원의 ‘정보시스템 저장매체 불용처리 지침’에 의해 노후 PC에 저장된 업무자료의 외부 유출을 막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디가우저가 있는 방에는 CC(폐쇄회로)TV도 설치돼 있고 사용일자와 제조사,용량,통신방식 등을 기록해 관리한다”며 “2008년 1월 이전 사용 대장은 당시 정부청사 화재로 없어졌을 뿐 공직윤리지원관실과는 무관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는 “2008년 이후 총 120개의 하드디스크를 폐기했으며 검찰에서 사용 대장과 기계까지 다 가져가 조사했다”며 “사용대장에 14건의 파일 삭제 기록이 공란으로 돼 있는 것은 삭제는 하되 복원이 가능한 이레이저를 사용한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