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의료원, 메르스 거점병원 지정에 저소득층 불똥

국립의료원, 메르스 거점병원 지정에 저소득층 불똥

입력 2015-06-08 14:24
수정 2015-06-08 14: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정부가 국립중앙의료원을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격리·치료 거점병원으로 지정해 이곳에서 치료를 받던 저소득층 환자 100여명이 갑자기 다른 병원으로 옮겨야 하는 처지에 놓였다. 여기에 일부 대학병원과 요양병원이 메르스 감염을 우려해 국립의료원 환자를 거부하면서 갈 곳이 없어지는 상황까지 발생했다. 정부의 뒤늦은 대처가 저소득층 환자들에게까지 불똥이 튀었다.

이미지 확대
朴대통령, 메르스 치료 격리병상 국립의료원 방문
朴대통령, 메르스 치료 격리병상 국립의료원 방문 박근혜 대통령은 5일 메르스 환자 격리와 치료의 최일선 현장인 국가지정 격리병상을 방문, 메르스 대응 현장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청와대 제공
 보건복지부는 지난 5일 서울 중구 을지로에 있는 국립의료원을 ‘메르스 중앙거점 의료기관’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국립의료원에서는 메르스 환자만 수용해 집중 격리 및 치료를 하게 된다. 국립의료원에는 전체 병상 435개 가운데 음압병실 병상이 17개(병실 5곳)가 있다. 국립의료원에는 현재 5명의 확진 환자가 입원치료를 받고 있다.

 문제는 국립의료원 환자들 가운데 다수인 기초생활수급자 등 저소득층 환자들이 다른 병원으로 옮겨야 하는데 상황이 여의치 않다는 것이다. 국립의료원이 메르스 거점병원으로 지정된 뒤부터 8일까지 기존 100여명의 환자들이 다른 대학병원이나 요양병원으로 옮기거나 퇴원 조치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공공의료기관이 아닌 대형 병원으로 옮길 경우 추가 비용 문제도 생기는 데다, 다른 병원에서 메르스 환자가 있던 병원에서 왔다는 이유로 입원치료를 거부하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때문에 일부 환자들은 지역 사회복지사의 도움으로 숙박시설에서 머물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졌다.

 국립의료원 관계자는 “국립의료원이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도 맡고 있는데, 불이익을 받는 환자들이 발생하는 상황을 고려한 뒤 거점병원 지정이 이뤄졌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