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이재용·통상임금…‘김명수 대법원’의 난제들

박근혜·이재용·통상임금…‘김명수 대법원’의 난제들

입력 2017-08-21 17:35
수정 2017-08-21 17: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원세훈·양심적 병역거부·전교조·통상임금 등 결론 전망

21일 지명된 김명수(57·사법연수원 15기) 대법원장 후보자는 앞으로 정치적·이념적 갈림길에 있는 중요 사건의 결론을 내려 우리 사회가 나아갈 좌표를 제시하는 막중한 임무를 맡게 된다.

김 후보자가 진보적 성향으로 평가받는 만큼 첨예한 논쟁이 벌어지는 대법원 사건의 심리 방향이 과거와는 다소 달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달 30일 서울고법의 파기환송심 선고를 앞둔 원세훈 전 국가정보원장 재판이나, 25일 1심 선고를 하는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 사건은 대법원이 머지 않아 다룰 대표적인 사건이 현재 1심이 진행 중인 박근혜 전 대통령 및 최순실씨의 사건 역시 내년께 대법원이 최종 심리에 들어갈 것으로 관측된다.

이 같은 사건들은 대법관 4명이 심리하는 ‘소부’가 아닌 대법원장까지 13명이 참여하는 ‘전원합의체’에 회부될 가능성이 크다. 사실상 ‘김명수 대법원’의 초·중반을 대표하는 사건이 될 전망이다.

진보-보수 성향에 따라 갈리는 사회의 다양한 이념적 사건 역시 김명수 대법원이 풀어야 할 과제다.

현재 1·2심에서 무죄 선고가 잇따라 나오고 있는 양심적 병역거부 사건이나, 김 후보자가 서울고법 부장판사 시절 효력정지 사건을 맡았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법외노조건 등이 대표적으로 꼽힌다.

2011년 시작돼 이달 말 1심을 앞두고 있는 기아자동차 통상임금 소송을 비롯, 대법원에 계류된 여러 통상임금 사건 역시 판단에 따라 기업·노동계 지형에 커다란 지각변동을 가져올 전망이다.

김 후보자는 지난해 9월 춘천지법원장일 당시 ‘법원을 향한 열린 지성, 캠퍼스 100인 토론회’ 행사에서 법원의 역할에 대해 “어느 한쪽 편에 서지 않고 독립해 판단해야 할 것이고, 그 내용도 현재 사회의 가치관을 반영하는 것은 물론 우리 사회의 미래를 내다보는 현명한 것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