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7/SSC_20250117125757_O2.jpg.webp)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17/SSC_20250117125757_O2.jpg.webp)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는 행정안전부로부터 ‘2025년도 지방소비세 납입 관리자’로 지정됐다고 17일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다음달 1일부터 1년 동안 약 28조원에 이르는 전국 지방소비세를 관리하게 된다. 시는 지방소비세를 배분하는 과정 81억원의 이자 수입을 얻게 된다.
지방소비세는 지방재정의 취약성 보완, 경기 침체에 따른 지방세수의 감소보전을 위해 국세인 부가가치세 일부를 지방세로 전환 것으로 2010년에 신설됐다.
지방소비세 납입관리자는 매월 20일 세무서장, 세관장으로부터 부가가치세의 25.3%를 지방소비세로 받아 기준에 따라, 각 시도와 시군구, 교육청 등으로 배분한다.
시는 지난해부터 재정을 총괄하는 시 기획조정실장을 중심으로 부산이 인구 대비 지방소비세 비율이 높은 점 등을 강조하며 지방소비세 납입관리자로 지정되기 위해 노력했다.
부산시 관계자는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와 고물가에 따른 경기침체로 지방세수 확보에 어려움이 큰 상황에서 지방소비세 납입관리자로 지정되면서 약 81억 원의 세입을 추가 확보하게 돼 의미가 크다. 앞으로도 자주재원 확충을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