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의대 본과생 복귀 의사 밝혀
총장들 “돌아오고 싶어하는 학생 많아”
올해도 복귀 안 하면 내년 1만명 수업
다음달 ‘의료인력 추계기구’ 논의 주목
![의과대학에 놓인 가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C_20250128122111_O2.jpg.webp)
![의과대학에 놓인 가운](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1/28/SSC_20250128122111_O2.jpg.webp)
의과대학에 놓인 가운
지난 7일 서울 한 의과대학 교실에 가운이 놓여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한 의대생 집단 휴학이 1년째 이어지는 가운데 2025학년도 개강을 앞두고 의대생 복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서울대 등 일부 의과대학 학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히면서 집단 휴학에 균열이 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28일 대학가에 따르면 서울대 의대 본과 3·4학년 중 일부가 개강 첫날 수업에 참여하는 등 수업 복귀를 하고 있다. 복학 신청을 집계한 연세대에서도 일부가 돌아올 의사를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의대생들이 속속 돌아올 경우 다른 대학 의대생 복귀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의대는 통상 다른 단과대보다 이른 2월 개강에 돌입한다. 대학들은 오는 3월을 복귀의 마지노선으로 보고 있다. 양오봉(전북대 총장)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차기 회장은 최근 기자들과 만나 “의대는 1~2주 먼저 시작하기 때문에 그때 정상적으로 복귀해야 하지만 현실적으로는 3월 개학까진 전원이 와야 한다”며 “또 휴학하면 내년 1만여명이 한 학년이 될 수 있는데 이건 현실적으로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라고 밝혔다.
대학들이 올해 복귀를 강조하는 건 휴학이 누적될 경우 내년에는 한 학년이 총 1만 1000~1만 2000명이 될 수 있어서다. 이미 2025학년도 의대 증원으로 올해 2024학년도 휴학생과 신입생 등 전국 7500명이 동시에 수업받아야 하는 상황이다. 여기에 2026학년도 신입생까지 더해지면 1학년만 1만여명이 된다.
관건은 의대 정원 문제가 2월 안에 합의될지다. 정부는 의료 공백 심화와 내년도 대입 혼란을 막기 위해 2월까지는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문제를 해결한다는 계획이지만, 그동안 단절됐던 의정 간 대화가 타결까지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다음달 열릴 ‘보건의료인력 추계기구’ 관련 공청회에서도 정부와 의료계의 힘겨루기가 예상된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는 의대 정원을 조정할 수 있는 법적 근거와 보건의료인력 정원을 논의할 추계위원회 구성을 담은 ‘의대정원 조정법’ 공청회를 다음달 14일 개최하기로 했다. 다만 수급추계위의 성격과 보건의료인단체 추천위원 수를 두고 정부와 의료계의 이견이 있어 논의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의대를 운영하는 수도권 대학 총장은 “학생 상당수는 복학하고 싶어한다”며 “결국 정치권에서 의대 정원 문제를 해결해야 돌아올 것”이라고 했다. 교육부는 “의대별로 맞춤형 대책을 세우고 있다”며 다음달 초까지는 의대생 복귀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