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이전 없이 인근 중학구 작은 학교로 진학 가능 제도
김해 진영서도 시행 중...‘창원 대산중도 포함’ 3년째 요구
김해교육지원청 “학부모 등 의견 수렴 거쳐 논의할 예정”
작은 학교를 살리고 과밀학교 어려움을 해소하겠다는 취지로 시행 중인 ‘광역학구제’를 확대해달라는 요구가 경남에서 나오고 있다.11일 교육계 설명에 따르면, 광역학구제는 학교군 지역에 주소지를 둔 학생이 주소 이전 없이 인근 중학구의 작은 학교로 진학할 수 있는 제도다. 여기서 학교군은 거리·교통 등 통학 여건이 유사한 지역 내 중학교를 묶어서 구성한 학교의 무리(군)다. 중학구는 통학거리·교통 편의성 등을 고려해 추첨 없이 특정 중학교에 지정 입학하도록 설정한 구역이다.
![경남교육청 전경.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01/SSC_20240501163455_O2.jpg)
![경남교육청 전경. 서울신문DB](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05/01/SSC_20240501163455.jpg)
경남교육청 전경. 서울신문DB
김해 진영읍도 그중 하나다. 16학교군인 진영지역 학생들은 인근 한림면 한림중학교(1학년 해당)로 거주지 이전 없이 진학이 가능하다.
다만 이 지역에서는 인근 창원시 대산면 대산중학교에도 광역학구제를 적용해달라는 요구가 3년째 나오고 있다. 실제 진영 소재 초·중학교 학부모 100여명이 참여한 한 설문에서는 94.7%가 ‘김해 진영과 창원대산중 광역학구제 확대’에 찬성한다고 답하기도 했다.
지금은 진영에 살면서 주소지를 옮기지 않고 대산중학교에 진학하려면, 광역학구제가 확대 적용 중인 대산지역 신등초·우암초를 졸업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무조건 주소지를 옮겨야만 가능하다.
한 학부모는 “창원대산중은 진영에서 5㎞ 정도 떨어져 있는데, 일부 학생은 이 학교에 진학하는 것이 통학·교육 등 여러 측면에서 더 효과적이다”라며 “그럼에도 광역학구제를 적용받지 못하다 보니, 부득이하게 전학을 가거나 주소지를 이전해 전입하는 등 불편이 계속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학생들 교육 선택권이 보장됐으면 한다”며 광역학구제 확대를 주장했다.
김해교육지원청은 지역민 요구에 따라 진영읍 소재 초등학교 6곳, 중학교 3곳, 한림중학교 등 교육관계자와 학부모, 교직원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김해교육지원청 관계자는 “의견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해 광역학구제 확대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며 “한 번 확대를 결정하면 쉽게 되돌릴 수 없기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고 말했다.
광역학구제 확대 요구와 논의 과정에는 지역·학교소멸 위기감이 짙게 깔려 있다는 평가도 있다. 교육 선택권 보장과 도심지역 과대·과밀학교 문제 해결, 작은 학교 활성화 등 광역학구제 본 취지를 살리면서도 학생 유치·지키기로 소멸 위기에서 벗어나려는 지역·학교별 경쟁도 심화할 전망이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