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비축쌀 10월까지 40%이상 줄 듯

공공비축쌀 10월까지 40%이상 줄 듯

입력 2011-07-12 00:00
업데이트 2011-07-12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말 151만t에 이르던 정부의 공공비축쌀 규모가 올해 10월 말에는 88만t으로 40%가량 줄어들 것으로 전망된다. 게다가 때이른 장마와 태풍 등으로 인해 벼농사 흉작이 될 경우 쌀 공급 차질에 따른 가격 급등이 우려된다.

이미지 확대


농림수산식품부는 11일 “올해 10월 말 기준 쌀 재고는 약 88만t 수준으로 예상돼 적정 재고량 72만t보다 약 16만t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 재고량인 150만 9000t보다 41.7%(63만t) 줄어든 수치다.

쌀 재고량은 대북식량지원 같은 외부 유출 없이 단기간에 큰 감소폭을 보였다. 지난해 흉년이 들어 쌀 가격이 오르자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비축미를 적극적으로 방출했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의 쌀 수요·공급 예측 및 분석 시스템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농식품부와 전문가들은 올해 벼농사 작황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지만, 조짐은 여전히 좋지 않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올해도 작년처럼 10㏊당 482㎏ 정도 생산되면 재배면적 감소로 쌀 생산량은 412만 1000t에 머물 것”이라고 했다. 쌀 생산량 감소로 공급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또 올해 정부가 쌀값 안정을 위해 2010년산 쌀을 방출해 현재 남아 있는 재고가 대부분 2009년산과 2008년산이라는 점도 문제다. 올해 흉작으로 쌀이 모자라더라도 소비자들이 묵은쌀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어 쌀값 급등을 피하기 힘들 수 있다. 이미 이달 들어 쌀(20㎏ 상품) 소매가격은 4만 5251원으로 지난해 6월 4만 1149원보다 10% 상승했다.

세계 곡창 지대의 흉년도 국제 쌀 가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다. 작황 악화로 이미 중국 정부의 쌀 수매가는 지난 6월 지난해 비슷한 시기보다 19% 올랐다. 우리나라는 중국과 미국에서 쌀 의무수입물량을 충당하고 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최근 각종 물가가 계속 오르면서 오히려 예전보다 쌀 소비가 늘어나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쌀 수급에 새로운 변수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황비웅기자 stylist@seoul.co.kr

2011-07-12 20면
많이 본 뉴스
핵무장 논쟁,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에서 ‘독자 핵무장’과 관련해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 러시아와 북한의 밀착에 대응하기 위해 핵무장이 필요하다는 의견과 평화와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어 반대한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독자 핵무장 찬성
독자 핵무장 반대
사회적 논의 필요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