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신규모가 500억원 이상인 대기업 가운데 30여곳이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나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 대상에 올랐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채권은행들은 신용공여 규모가 500억원을 넘는 2000개 안팎의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금융당국과 각 기업에 통보했다. 30여개 기업이 C, D등급을 받아 각각 워크아웃, 법정관리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는 65곳이 C, D 등급을 받았다. 부동산 경기 악화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 때문에 올해 부실 대기업에는 시행사들이 상당수 포함됐고, 도급 순위 100위 내 업체를 비롯한 건설사도 일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STX건설, 두산건설, 극동건설 등 그동안 시장에서 우려가 제기됐던 건설사들은 모기업의 증자를 포함한 자구계획이 인정돼 부실기업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채권은행들은 신용공여 규모가 500억원을 넘는 2000개 안팎의 기업에 대한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금융당국과 각 기업에 통보했다. 30여개 기업이 C, D등급을 받아 각각 워크아웃, 법정관리 대상이 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에는 65곳이 C, D 등급을 받았다. 부동산 경기 악화와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 때문에 올해 부실 대기업에는 시행사들이 상당수 포함됐고, 도급 순위 100위 내 업체를 비롯한 건설사도 일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STX건설, 두산건설, 극동건설 등 그동안 시장에서 우려가 제기됐던 건설사들은 모기업의 증자를 포함한 자구계획이 인정돼 부실기업 대상에서 제외된 것으로 알려졌다.
홍지민기자 icarus@seoul.co.kr
2011-07-14 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