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노년층은 주요 선진국들에 비해 생계비를 자녀에 의존하는 비율이 크게 높고 공적연금으로 충당하는 비율은 낮았다. 이는 ‘효(孝)’ 사상이라는 독특한 문화가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28일 한국은행의 ‘일본의 노후난민 시대 도래와 정책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년층의 생계비 조달방식 1위는 ‘자녀 원조’로 전체 응답의 60.7%를 차지했다. 이는 일본(10.0%)의 6배, 미국(5.3%)의 11배가 넘는 수치다. 독일과 프랑스도 생계비를 자녀에 의존한다는 응답이 각각 3.5, 3.7%였다.
이 자료는 일본 내각부가 작성했으며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 중 6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복수응답을 받았다. 우리나라 고령자들은 자녀 원조외에 ▲근로소득 42.2% ▲예·저금 31.1% ▲공적연금 14.8% ▲자산소득 7.6% ▲사적연금 6.6% ▲생활보호 5.7% 순으로 대답했다.
반면 4개 선진국의 노년층은 공적연금으로 생계비를 조달하는 비중이 높았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8일 한국은행의 ‘일본의 노후난민 시대 도래와 정책 대응’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년층의 생계비 조달방식 1위는 ‘자녀 원조’로 전체 응답의 60.7%를 차지했다. 이는 일본(10.0%)의 6배, 미국(5.3%)의 11배가 넘는 수치다. 독일과 프랑스도 생계비를 자녀에 의존한다는 응답이 각각 3.5, 3.7%였다.
이 자료는 일본 내각부가 작성했으며 2005년 12월부터 2006년 2월 중 60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복수응답을 받았다. 우리나라 고령자들은 자녀 원조외에 ▲근로소득 42.2% ▲예·저금 31.1% ▲공적연금 14.8% ▲자산소득 7.6% ▲사적연금 6.6% ▲생활보호 5.7% 순으로 대답했다.
반면 4개 선진국의 노년층은 공적연금으로 생계비를 조달하는 비중이 높았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7-29 17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