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주력품 어떻게 바뀌었나
무역 1조 달러를 달성한 우리나라의 역대 주요 수출품 변화 양상은 변방의 개발도상국이 어떻게 산업적인 진보를 통해 선진국으로 도약하는가를 보여주는 전형에 해당한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1/SSI_20111201010226.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11/12/01/SSI_20111201010226.jpg)
30일 재계 등에 따르면 수출 100억 달러를 돌파했던 1977년 가장 수출을 많이 했던 품목은 의류였다. 전체 수출의 19.3%인 19억 4000만 달러의 수출액을 기록했다. 신발(5.0%), 목재류(4.7%), 어류(4.3%) 등 다른 주요 수출품 역시 낮은 기술수준에서도 만들 수 있는 제품들이었다.
500억 달러를 돌파한 1988년에도 의류와 신발은 전체 수출액 중 각각 13.9%, 6.3%의 점유율로 수출 품목 1, 2위를 달렸다. 그러나 1980년대부터 전자, 자동차 분야에 대한 투자에 힘입어 영상기기(5.8%), 자동차(5.7%), 반도체(5.2%) 등 선진국형 제품이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변화는 1990년대 들어 본격화됐다. 수출 1000억 달러를 달성한 1995년에는 반도체가 14.1%로 수출액 비중 1위에 등극했다. 자동차(6.7%)와 선박해양구조물 및 부품(4.5%), 영상기기(3.9%) 등도 5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2000년대에는 정보기술(IT) 업종의 도약이 두드러졌다. 수출 2000억 달러를 돌파한 2004년에는 ▲자동차(10.5%) ▲반도체(10.4%) ▲휴대전화 등 무선통신기기(10.3%) ▲컴퓨터(6.7%) ▲선박(6.2%) 등 첨단 제품들 중심으로 수출 주력군이 완전히 재편됐다. 지난해 역시 반도체(10.9%)와 선박(10.5%), 자동차(7.6%), 평판디스플레이(7.0%) 등이 수출 5대 품목에 이름을 올렸다.
무역 1조 달러 자체가 갖는 의미 역시 상당하다. 수출 1억 달러를 달성했던 1964년 대비 무역 규모가 약 1900배 늘어났다. 1조 달러는 1달러 지폐를 가로로 늘어놓았을 때 지구 둘레(4만 6250㎞)를 3370바퀴 돌 수 있는 길이의 액수다.
무역 1조 달러를 넘는 국가는 미국, 독일, 일본, 중국, 프랑스, 네덜란드, 영국, 이탈리아 등 8개국이다. 이는 곧 우리나라가 기존 강대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무역 시장의 주변에서 중앙으로 무대를 옮겼다는 뜻이다.
또한 세계 108위에 불과한 국토 면적과 원유 등 수입이 총 수입의 30%에 달하는 빈약한 자원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무역 대국으로 성장한 성과는 중동과 아프리카 등 많은 나라들이 앞다퉈 벤치마킹하고 있다.
한준규·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1-12-01 2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